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95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76159 


제목 윤리적 관점에서 본 응급피임약
영문명 Emergency Contraception Pills Analyzed from the Ethical Point of View
저자 최진일(Choi, Jin Il)
학술지명 인격주의 생명윤리
권호사항 Vol.5No.2[2015]
발행처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57-87
발행년도 2015
KDC 190
주제어 unwanted pregnancy,Emergency contraception pills(EC),인격주의,인간적 행위,self-determination,actus humanus,personalism,자기결정,응급피임약,불원 임신




초록 

고농도의 프로게스테론을 함유하고 있는 응급피임약은 성교이후 수정이 이루어졌다고 여길 경우 복용한다. 배아의 착상을 방해하여 불원(不願) 임신을 막기 위해서다. 이것이 응급피임약의 근본적인 목적이다. 따라서 응급피임약은 배아의 생명을 위한 약이 아니라 배아의 생명에 반하는 목적으로 생산된 약이다. 2012년 이 약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일반약 전환이 제기되었다. 3년 기간의 유보 기간을 가지면서 대부분의 옹호자들은 그 정당성의 근거를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건강권에서 찾는 듯하다. 한편, 응급피임약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향락주의적 성문화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미혼모, 낙태 문제 해결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응급피임약 논의가 개인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문제가 맞물려 있다는 것을 함축한다. 하지만 그 논의가 자기결정권의 측면을 크게 부각시킴에 따라, 우리 사회의 향락주의적 성문화 자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은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즉 비용-이익 계산의 관점에서, 응급피임약의 접근성 향상을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문제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으로 삼으려는 경향이 있다. 한편 자기결정은 이성적 판단에 근거한 것으로, 그 이성적 판단의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한 윤리적 성찰은 자기결정에서 핵심으로 다루어야 할 문제이다. 응급피임약 논의에서 자기결정권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중심 근거로 삼고 있지만 그 이성적 판단 기준에 대한 윤리적 성찰은 사실 편향되어 있다. 응급피임약은 배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것으로서, 응급피임약 자체가 비윤리적이다. 덧붙여, 왜곡된 이성적 판단을 근거로 하는 응급피임약의 선택은 이미 선(善)을 거슬리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응급피임약 자체도 허 용될 수 없지만, 그 접근성을 높이게 될 경우 개인의 행복추구와 사회의 공동선 구축을 위해서도 역기능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응급피임약의 일반약 전환에 대한 논의들
Ⅲ. 정당화 근거 고찰
Ⅳ. 윤리적 평가
Ⅴ. 나가는 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75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4
74 20 죽음과 죽어감 타이완 「안녕완화의료조례」 법제화의 시사점 / 양정연 2014  283
73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가능성과 방향 / 이주희 2012  289
7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295
7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6
70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점으로 본 ‘자기결정’에 대한 고찰 / 오석준 2018  315
69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19
6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67 15 유전학 유전자진단정보와 보험법적 문제 / 박은경 2013  327
66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중단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 김혁돈 2006  329
65 17 신경과학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2018  332
64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논문 :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성과 법제화에 대한 고찰 / 김성규 2014  334
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고찰 / 정화성 2017  339
62 1 윤리학 의약품 품목허가제도의 자기결정권, 보건권 침해 여부 : 약사법 제31조 제8항 등 위헌확인을 중심으로 / 차승현 2013  344
61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5
6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 점승헌 2013  345
59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
58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치료의무와 환자의 죽을 권리에 대한 형법적 연구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론의 방향 / 정효성 2010  349
57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질의 재산권의 허용범위와 그 이용을 위한 관련법규의 정비방안 / 이정현, 박인걸 2010  357
56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와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 문노을 2014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