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76157 


제목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
영문명 Reflection of female perspectives on an emergency contraceptive pill
저자 유혜숙(Yu, Hae Sook)
학술지명 인격주의 생명윤리
권호사항 Vol.5No.2[2015]
발행처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5-56
발행년도 2015
KDC 190
주제어 oral contraceptive pill,morning after pill,postcoital contraception,emergency contraceptive pill,낙태,birth control pill,contraception,abortion,피임,응급피임약,사후피임약,사전피임약




초록 

응급피임약을 전문의약품으로 유지하느냐 아니면 일반의약품으로 전환하느냐, 그 결정을 앞둔 시점에서, 본고는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을 시도하였다. 먼저 여고생들, 대학생들, 일반 미혼여성들, 미혼모들이 응급피임약에 대해 가지는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았다. 이어 응급피임약에 대한 여성적 관점을, 주로 일반의약품 전환에 찬성하는 여성 전문가들의 입장에 비추어 고찰하였다. 여성 전문가들이 응급피임약을 일반의약품으로 전환하는 데 찬성하는 논리적 근거로, 여성의 재생산권, 임신종결권, 낙태권, 자기결정권, 선택옹호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명권 대 자기결정권, 생명옹호론 대 선택 옹호론의 이분법적 대립을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다초점 정책의 원리를 소개하였다. 또한 실천적 제안으로 여성 전문가들이 응급피임약의 안전성과 효용성을 강조하면서 응급피임약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제안하고, 응급피임약의 접근성을 강조하면서 일반의약품 전환을 제안하는 것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여성 전문가들의 과제와 가톨릭교회의 과제를 함께 모색하였다. 논리적 근거에 대한 과제로 여성계는 여성의 재생산권, 임신종결권, 낙태권, 자기결정권, 선택옹호론을 주장하기에 앞서 정자와 난자가 만날 때부터 인간이며 생명이라는 이론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을 해야 하고, 가톨릭교회는 이 이론을 좀 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논거를 통해 제시하면서 여성계를 비롯한 관련된 모든 이들과 공유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실천적 제안에 대한 과제로 여성계는 응급피임약의 위험성과 부작용, 접근성이 용이해질 때 파생될 수 있는 제 문제도 인식하면서, 과연 일반의약품 전환이 필요불가결한 것인가에 대한 깊이 있는 숙고를 해야 하고, 가톨릭교회는 임신과 출산, 양육과 교육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오늘의 세대에게 단죄나 죄의식을 심어주기보다는 이해와 배려의 자세로 다가가면서 출산환경의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응급피임약 대란 미혼 여성들의 인식과 태도
Ⅲ. 응급피임약에 대한 여성 전문가들의 인식과 제안
Ⅳ.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과 과제
Ⅴ. 나가는 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6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9
25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5
24 10 성/젠더 성인여성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전환 단계에 대한 연구 / 최은아 2015  371
23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6
»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4
21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6
2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19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1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17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75
1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15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14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6
13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12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11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10 10 성/젠더 난자 :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 조주현 2007  314
9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2010  334
8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3
7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