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37304 

제목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
영문명 Feminism and the Culture of Life of the Catholic Church
저자 이연숙(Lee Yeon Sook)
학술지명 인격주의 생명윤리
권호사항 Vol.6No.1[2016]
발행처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43-73
발행년도 2016
KDC 190
주제어 페미니즘,생명문화,여성인권,생명옹호 vs 선택옹호,뉴 페미니즘,Feminism,Culture of Life,Women's Right,Pro-life vs Pro-choice,New Feminism



초록 

가톨릭교회는 페미니즘에 대해 긍정적 · 부정적 측면 둘 다 언급한다. 교황청 신앙교리성은 「인공유산 반대 선언문」에서 "여성해방운동이 부당한 차별로부터의 해방 모색이라면, 건전한 근거위에 있다"며 페미니즘 운동에 대한 긍정적 측면을 평가한다. 하지만 (페미니즘에서 말하는) "성 해방을 자녀 출산을 지향하는 부부생활의 근본 방향을 무시하며 성적 쾌락을 추구할 자유로 이해한다면, 이는 인간답지 못한 일"이라고 비판한다. 이 글은 페미니즘의 이론들과 한국에서의 페미니즘 흐름을 알아보고, 페미니즘이 생명문화에 끼친 긍정적 · 부정적 영향에 대해 고찰하며 이와 관련된 가톨릭교회 가르침을 살펴보고자 했다.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권익 신장과 사회 인식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여성 자신의 몸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낙태 선택권, 자유로운 성 선택을 주장하기도 한다. 시험관 수정과 인간배아연구 등의 문제에서는 지배당하는 여성의 몸에 주목하고 인간 생명인 배아가 파괴되는 문제에는 침묵한다. 생명문화라는 큰 틀에서 볼 때, 페미니스트들의 활동이 일관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페미니스트들이 가장 약한 생명에도 관심을 갖도록 시각 확대와 '뉴 페미니즘'이 요구된다. 또한 교회 생명운동 단체들이 인간생명수호 활동에 미온적인 교회 여성운동 단체와 연대할 것을 제안한다. 자연출산조절법(배란법)이 페미니즘 요소를 담고 있다는 것을 부각시켜 보급할 것도 제안한다. 그렇게 할 때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페미니즘 흐름
Ⅲ. 페미니즘이 생명문화에 끼친 영향
Ⅳ. 페미니즘 입장과 관련한 가톨릭교회 가르침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6
35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649
34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6
3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3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6
3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79
30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5
2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5
28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2016  900
2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2014  850
26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42
25 1 윤리학 비췀과 췰드리스의 생명의료윤리학 논의에서의 넓은 반성적 평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목광수 2014  540
24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외상 후 성장 / 최순옥 2014  534
23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2014  515
22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8
2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20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19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18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1
17 15 유전학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고객인식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위험 조절효과 분석 / 유영애, 우성근, 권기완 2014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