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慶熙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075211 




제목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


영문명 A Study on the right to reproduction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저자 장복희 ( Bokhee Chang )
학술지명 慶熙法學
권호사항 Vol.50No.3[2015]
발행처 慶熙大學校 경희법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73-196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
주제어 재생산권, 생명권, 자결권, 신체의 자유, 평등, 차별금지, 세계인권선언, 여성차별철폐협약, right to reproductive, self-determination, right to life, liberty, equality,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non-discrim




초록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의 보호는 여성의 생명권, 신체적· 정신적 안전, 자결권, 차별금지 로부터 자유로울 권리, 자유, 자율, 사회정의와 평등권의 보장으로 요약된다. 국가는 국제인권법상의 개인의 건강을 보호할 의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보건관련 정책과 법은 기본인권을 보호하고 있지만, 여러 법정책은 필요한 건강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형사처벌하고 금지하며 제한함으로써 여성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다. 예컨대 임신, 피임, 임산부의 행동과 낙태로부터 생명보호와 관련된 법규정이 여성에게 해악을 줄수 있고 여성과 건강돌봄의 지원자를 형사 처벌하는 위험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임신과 관련한 처벌적이고 제한적인 법의 적용이 불리한 결과가 초래됨에 따라, 시민사회단체, 인권 단체와 정부기구는 여성의 기본적인 재생산권을 증진하고 보호하며 이행될 수 있도록 함께 행동하고 협력해나가야 한다. 여성인권의 발전된 국제규범을 국내법제도 내로 이행하는 문제는 복잡하고 단일의 신속한 해결책이 없다. 여성의 권리로서 여성의 ‘생명권’이 태아의 그것보다 우선하는 가치를 심고, 재생산의 ‘자율성’의 개념은 정부 내, 보건제도, 관행, 관습과 의식에 스며들어야 한다. 여성의 재생산건강, 특히 취약하거나 불리한 입장에 처해 있는 여성들의 재생산건강을 존중하는 보다 나은 서비스, 정책과 지침을 마련하고, 인권을 위해 투쟁하는 용기 있는 개인을 보호하며 재생산권에 대한 편견, 공격과 오명에 도전하는 차별관행에 도전하는 일은 정부와 시민사회의 역할이다. 국제인권법상 기본권은 출생 시 획득되는 권리이며, 임신· 출산·낙태등과 관련한 쟁점을 규율하는 법은 태아의 권리보다 여성의 권리를 우선 보장해 주어야 한다. 여성의 기본권으로서의 재생산권은 ‘생명권, ‘자율’과 ‘차별금지’가 핵심이다. 재생산권은 국제 인권법상 자결권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며 재생산권 관련 입법과 법적용에 있어서 여성의 생명과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전할 권리와 자결권 보장 중심의 해석과 적용이 필요하다. 민주주의의 척도는 해당국가의 약자의 권리 보호 수준으로 가늠된다. 제3의 권리로서의 재생산권이 보편적인 인권으로 형성해 나가기 위하여 앞으로의 국가관행과 판례에 기대해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9 1 윤리학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법제 정비 방안/ 김유림 2019  631
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2
47 9 보건의료 고령친화 의료기기의 안전관리방안 연구 / 임경민, 송동진 2018  68
46 9 보건의료 감염환자 검사자의 안전권,건강권,의료환경권 / 박상웅 2017  182
45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4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43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42 22 동물복지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황수진 2015  256
41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2007  626
40 22 동물복지 도축되는 한우 혈액에서 회수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 김민수 외 2012  273
39 1 윤리학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 원종욱 2016  249
38 9 보건의료 일본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피해구제제도와 시사점 / 최철호 2016  326
37 9 보건의료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정오 외 2015  171
36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20
35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34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33 18 인체실험 국내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현황과 문제점 / 이준석 외 2006  634
32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31 2 생명윤리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인간대상연구에 있어 동의 관련 규범적 문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의 동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312
» 14 재생산 기술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장복희 2015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