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 정책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20036 

미검증 의료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정책학적 연구 / 채규현


저자 채규현 
형태사항 170 p.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호용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 정책학과 정책학 2015. 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주제어 리스크, 리스크 관리,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미검증 의료행위, 국가 규제, 신의료기술, 신약, 부작용, 모니터링, 의료분쟁

소장기관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현대의학의 발전에 기인하여 의학 기술과 인간의 존엄성 내지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법 규제의 충돌은 현재까지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건국대 병원 흉부외과 심장전문의 송명근 교수의 카바수술(Comprehensive Aortic Root and Valve Repair Surgery)에 있어 기존 수술법 보다 사망률이 높다는 안전성 문제가 제기 되었다. 보건복지부는 카바수술과 관련하여 비급여 고시를 폐지하고 수술에 쓰이는 재료에 대한 비급여도 삭제했으며 이에 국내에서의 카바수술 및 후행연구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자 송명근 교수는 한국을 떠나 중국으로 옮겨서 수술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故 신해철 씨 및 일부 여성들의 죽음의 원인이 된 위밴드 수술과 관련하여 부작용과 위험성에 대한 사전평가 및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미검증 의료행위와 관련한 객관적인 규제 방안과 더불어 이에 대한 의료서비스 수요자의 올바른 정보에 대한 접근성 부재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미검증 의료행위는 안전성이나 기술의 유효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의료분쟁사례나 부작용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는 의료기관의 자율적인 시정을 통한 개선도 중요하나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보호 체계를 갖춘 규제 개선 방안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어려울 것이다.
본고에서는 첫째, 최근 미용과 관련한 수술 및 시술에 대한 관심이 대폭 증가하면서 이에 기인한 부작용으로 인해 국민의 건강권 침해 및 공공보건과 관련한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아졌다. 그러므로 미검증 의료행위와 관련된 법과 판례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규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미검증 의료행위를 법정책학적 관점으로 판단한다. 그리하여 질병이나 수술 및 시술 요구상황에 따른 유형을 리스크 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의 개념으로 확정 짓고 새로운 질병의 유형으로 분류한다. 또한 리스크(Risk) 및 리스크 관리 체계(Risk Management System)의 개념을 접목시켜 위험 발생 개연성 정도에 따른 의료인의 설명의무 및 주의의무를 부여한다. 이에 있어 위험 발생 개연성의 세부적 분류는 독일 유전공학법의 보안수준(Sicherheitsstufen)에서 차용하여 국가의 규제 정도를 나누어 문제되는 의료관련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검증이 요구되는 의료수술 및 시술의 부작용에 있어 의료관련 정보와 관련하여 정확한 지식 접근의 폐쇄성 등의 문제에 기인하여 국민의 미검증 의료행위 선택에 있어 자기결정권 보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캐나다의 MedEffect를 차용하여 소비자 지향의 의료정보공개에 대한 기제 생성을 통해 미검증 의료행위에 대한 국가전달체계를 확립하여 부작용 피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의료소비자의 의료행위 선택에 있어 헌법상 기본권인 자기결정권을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셋째, 현행 기관의 중립성 및 전문성의 부재로 인해 미검증 의료행위의 관리 및 감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일본의 의약품 의료기기 종합기구(独立行政法人 医薬品医療機器総合機構)와 영국의 NICE(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등을 모델로 하여 중립적이고 전문적인 국가기관 설립에 대한 부분을 검토한다. 이를 통한 체계화 된 검증을 통해 미검증 의료행위의 부작용 방지와 더불어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한 예방적 차원의 접근으로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넷째, 미검증 의료행위에 대한 규제 강화 및 전술한 기관의 지속적 모니터링으로 인하여 의료기관 및 의료인의 의료행위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 및 다양한 의료서비스의 개발에 대한 의욕 저하 유발 등 다양한 역작용으로 귀결될 수 있다. 이는 오히려 국민의 건강권을 저해할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규제의 정도에 따라 조성행정을 균형 있게 제시하여 역작용 방지를 통해 결과적으로 국민의 건강권 확보를 목표로 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에 있어 미국의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법(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에서의 의료기기 Class I-Ⅲ 의 등급별 논리와 일본의 재생 의료를 국민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책의 종합적인 추진에 관한 법률(再生医療を国民が迅速かつ安全に受けられるようにするための施策の総合的な推進に関する法律)에서의 제1종~제3종 재생의료의 논리를 차용한다.
위에서 제시한 모든 방안에 대한 결과는 국민의 건강권 보호로 귀결되며 헌법상의 기본권을 보호한다는 데에 있어 상당한 의미가 부여된다. 또한 이를 통해 얻은 국민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아 의료서비스의 질적 확충을 가져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의료 소비자와 의료 서비스 제공자 양자의 만족을 가져온다. 
 
목차

국문 요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8 환자 의사 관계 미검증 의료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정책학적 연구 / 채규현 2015  253
19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2011  255
19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손보미 2015  256
19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의 지연사유와 그 개선방안 : 서울지방법원 의료전담부 판례 중심 / 신헌준 2004  257
19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7
193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 / 박미라, 제남주 2018  259
192 10 성/젠더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채형복 2018  260
191 9 보건의료 ‘기본법’으로서의 보건의료기본법 : 제정구상, 체계적 지위 그리고 기능적 한계 / 박지용 2014  261
19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형사적 책임성부 검토 / 류동훈 2015  261
189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2015년 사태와 관련된 의료법령의 분석과 입법론 - 「의료법」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조항을 중심으로 -/김천수 2015  264
188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5
18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적 이해 : 규범적 맥락과 법제화의 방향 / 김나경 2015  271
186 20 죽음과 죽어감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5  275
185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최준희 외 2017  276
184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의 개설과 부당청구에 대한 규제에 관한 소고 / 백경희 외 2015  277
183 2 생명윤리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혜림 외 2016  278
182 9 보건의료 의사 · 한의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검토 -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 김한나 외 2016  278
181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2
180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 손인서 2017  283
17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경제적 설명의무 / 최행식 2014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