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기독교사회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44354 

난민과 탈북자의 윤리적 문제 - 아감벤과 레비나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
= The Problems of the Refugee and the North Korean defector: Based on Agamben and Levinas` theory / 이종원


제어번호 101844354
저자명 이종원 ( Jongwon Lee )
학술지명 기독교사회윤리
권호사항 Vol.34 No.- [2016] 
발행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Society)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3-138(36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초록
본 소고에서는 탈북자들이 현실적으로 겪는 문제점들을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를 통해 조명하면서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를 모티브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탈북자들이 중국이나 제3국에서 겪는 인권 유린의 실태를 살펴보고, 탈북자들이 난민으로서 인정받기 위해 충족되어야할 조건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탈북자들에 대한 강제 송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중국 정부의 정책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탈북자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난민은 삶의 터전을 잃은 뿌리 뽑힌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뿌리 뽑힘은 이제까지 살던 곳에서 어딘가로 떠나야 하는 상황뿐 아니라, 이제까지의 모든 관계들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아렌트는 한민족, 한 영토, 한 국가라는 민족 국가의 틀이 사람들을 무국적 난민, 즉 민족국가의 구성적 외부로 추방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탈북자들의 인권이 보호되고 법적 지위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먼저 난민으로 인정받는 것이 시급하다. 아감벤에 따르면, 호모 사케르는 절대적인 살해 가능성에 노출된 벌거벗은 생명임과 동시에, 법과 희생 제의의 영역 모두를 초월하는 어떤 폭력의 대상을 가리킨다. 벌거벗은 삶은 모든 긍정적 관계가 벗겨진 삶이며, 따라서 보존될 가치도 없이 무가치하게 여겨지는 삶이다. 레비나스에게 있어, 타자의 얼굴과의 만남은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의미한다. 타자의 얼굴은 무한의 자취이며, 하나님의 말씀이 앎과 존재를 넘어 들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타자의 얼굴이 갖는 이질성과 상처받기 쉬움을 구원하는 것은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고아와 과부와 이방인을 환대하라는 하나님의 명령과 사회적으로 차별과 배제를 받았던 세리와 창녀들의 친구였던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을 통해서 사회적 약자들을 포용하는 화해의 메시지를 발견하게 된다. 타자의 윤리를 통하여 우리는 탈북자 문제를 새롭게 조망하고 이를 통해 탈북자들과 함께 더불어 공존하고 협력할 가능성을 찾게 된다. 우리가 만들어야 할 바람직한 공동체는 자신들의 기준에 따라 소외된 자들을 죽음과 폭력에 노출시키고 그들을 배제하는 닫힌 사회가 아니라 다양한 사람들이 평화롭게 공존하고 행복을 향유하는 열린 공동체이다.


주제어
난민  , 탈북자  , 비호  , 강제송환금지원칙  , 호모 사케르  , 타자의 윤리  , Refugee  , North Korean Defector  , Asylum  , Non-Refoulment Principle  , Homo Sacer  , Ethics of the Othe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1 윤리학 난민과 탈북자의 윤리적 문제 - 아감벤과 레비나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 / 이종원 2016  577
62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8
626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상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그리고 비식별화 :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4호의 평가 및 입법론적 논의 / 김후신 2015  578
625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 홍선우, 김신미 2013  579
62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 보호와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김종일 2010  580
623 9 보건의료 국제비교를 통한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의 수가체계 차등화에 대한 연구/김진수 외 2014  581
62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모를 권리와 의사의 배려의무 / 석희태 2016  582
62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620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선영, 허성순, 김분한 2014  582
61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주홍덕 1997  582
618 15 유전학 희귀 미토콘드리아성 유전병에 대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로부터의 원인 돌연변이 규명 / 박지훈 2014  582
617 18 인체실험 임상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윤리의 실제/임명호 2015  583
616 15 유전학 유전병과 기형아 및 유전상담 / 김정휘 1996  583
615 19 장기 조직 이식 설문조사를 통한 생체 신장 공여자의 기증 후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 / 남민경, 이두인, 권오정 2014  583
614 22 동물복지 실험동물의 사용과 사육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우상훈 2011  583
613 9 보건의료 로봇수술을 담당하는 간호사의 직무 인식 / 김혜원 2017  583
612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4
611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5
610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2016  585
609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책임윤리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 김상철 2003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