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애니메이션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41144 

인간의 로보티즘과 로봇의 휴머니즘 스토리텔링 연구 = A Study on the Storytelling between Robotism of Human and Humanism of Robot : Focusing on Robot and Frank / 강승묵


제어번호 100041144
저자명 강승묵(Seung Mook Kang) 
학술지명 애니메이션연구(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권호사항 Vol.10 No.2 [2014] 
발행처 한국애니메이션학회 
발행처URL http://koreananimation.org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25(19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4년
KDC 605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인간과 로봇은 다르다? 인간이나 로봇이나 다를 바 없다? 인간의 휴머니즘과 로봇의 로보티즘은 상호대체될 수 없는 본질적인 것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일련의 단정적 논지를 바탕으로 인간이 로보티즘에 종속되고 로봇이 휴머니즘을 희구하며 형성되는 인간과 로봇의 관계를 인간의 로보티즘와 로봇의 휴머니즘이라는 역설로 접근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인간과 로봇이 등장한 극영화인 <로봇 앤 프랭크>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분석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체 13개의 신으로 구조화되어 있는 이 영화의 스토리텔링은 첫째, 인간이 기술에의 욕망에 집착하고 로봇을 ‘우리’라고 명명하는 이야기하기를 통해 인간과 로봇(기계)의 정체성에 혼동을 야기하고 있었다. 인간의 휴머니즘은 객체화되고 로봇의 로보티즘은 주체화되고 있는 것이다. 둘째, 사건이 발생하는 공간의 병치와 병렬을 통한 이중 구조가 인간과 로봇의 관계를 교차시키며 관객의 공감각을 통합시키고 있었다. 셋째, 인간과 로봇, 휴머니즘과 로보티즘의 구별 짓기는 불가피한 것이지만 영화적 시공간에서는 극복될 수 있다는 이야기하기의 전형이 반복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로봇과 인간, 로보티즘과 휴머니즘이 상호대체 가능하며, 인간의 로보티즘과 로봇의 휴머니즘의 붕괴된 경계도 봉합될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한 편의 영화만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했다는 점에서 명백히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휴머니즘의 붕괴와 로보티즘의 지배, 인간과 비인간, 휴머니즘과 반 휴머니즘에 대한 성찰을 촉구했다는 점에 연구의의를 두고 있다.


목차
1. 인간과 로봇의 모닥불 놀이
2. 서사, 스토리텔링 그리고 인간, 로봇의 이야기들
3. 연구 분석을 위한 대상과 문제
4. 인간의 로보티즘과 로봇의 휴머니즘 스토리텔링
5. 휴머니즘과 로보티즘의 경계 넘나들기


주제어
인간  ,로봇  ,휴머니즘  ,로보티즘  ,스토리텔링  ,Human  ,Robot  ,Humanism  ,Robotism  ,Storytelli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의 로보티즘과 로봇의 휴머니즘 스토리텔링 연구 / 강승묵 2014  320
1507 9 보건의료 정부의 인수공통감염병 다부처사업 R&D 전략 및 로드맵 / 지영미 2016  320
1506 2 생명윤리 영미권의 생명의료윤리학, 어떻게 볼 것인가? : 응용윤리학적 접근법을 비판하며 / 정준영 2008  320
1505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에 대한 연구 / 박종익 2012  320
1504 15 유전학 질병 감수성 예측 유전자 검사의 국내 도입과 유전상담 필요성에 대한 조사 / 정윤경 2017  320
1503 15 유전학 공공정보의 이차 활용을 위한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생체 의료정보의 이차 활용을 중심으로/ 박미정 2015  321
1502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2015  321
1501 9 보건의료 특별법상 허위.과장광고 및 표시에 관한 형사처벌 조항에 대한 검토 -보건의료 및 생명공학분야를 중심으로- /심영주 2014  321
150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2009  321
1499 5 과학 기술 사회 트랜스 휴머니즘과 인간 양식의 변화에 나타난 윤리적 문제들 - 인공지능시대에 삶의 미정성과 유한성이 주는 가치 / 김광연 2017  321
1498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2017  321
1497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의 윤리 / 김상득 2018  321
149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를 이용한 의료사고에 대한 원인분석 및 맵개발에 대한 연구 / 김선녀 2018  321
1495 15 유전학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검사의 정당성 구조와 법정책 / 김나경 2018  321
149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2
149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실무상 감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한 의료소송전문 법률사무소의 최근 10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 진수현 2008  322
1492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
1491 1 윤리학 생명윤리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소고 : 본회퍼의 『윤리학(Ethik)』을 중심으로 / 전은강 2016  322
1490 12 낙태 독일과 한국에서의 낙태의 규범적 평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김학태 2010  322
1489 9 보건의료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적용한 메르스 예방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 유성신 2016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