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과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75731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가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형은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operation room nurses' attitude toward organ transplantation in brain death

              and meaning of life on their ethical value of nursing
저자 서형은
형태사항 vi, 78.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미영, 참고문헌: p. 54-61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과학과 2016. 2. 졸업
DDC 600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 삶의 의미, 간호 윤리 가치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5년 9월 1일부터 2015년 9월 1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서울시 소재의 일개 상급종합병원 수술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뇌사자 장기이식 수술에 소독 간호사 및 순회 간호사로 1회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상희(2006)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 최순옥 등(2005)의 삶의 의미, 엄인향(2014)의 간호 윤리 가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및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s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의 평균은 5점 척도 상 3.39±0.36점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의미의 평균은 139.14±13.58점으로 나타났고, 간호 윤리 가치의 평균은 5점 척도 상 3.13±0.28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장기이식 관련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뇌사자 장기이식 수술에의 참여횟수(F=3.82, p=.011), 사후 장기기증 여부(F=5.55, p=.005)로 나타났으며, 삶의 의미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간호직에 대한 생각(F=8.96, p<.001), 사후 장기기증 여부(t=5.60, p=.004)로 나타났고, 간호 윤리 가치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성별(t=-2.30, p=.022), 연령(F=3.98, p=.021), 최종학력(F=202.05, p<.001), 직위(t=-3.29, p=.004), 뇌사자 장기이식 수술에의 참여횟수(F=3.04, p=.031), 헌혈여부(t=-2.08, p=.040)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는 삶의 의미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0.56, p<.001), 간호 윤리 가치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31, p<.001). 대상자의 삶의 의미는 간호 윤리 가치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35, p<.001).
 4. 본 연구의 다중회귀모형은 대상자의 간호 윤리 가치를 82.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69.27, p<.001). 대상자의 간호 윤리 가치의 영향 요인으로 유의한 변수는 최종학력(β=0.83, p<.001), 삶의 의미(β=0.13, p=.001),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β=0.27, p<.001)로 나타났다. 간호 윤리 가치에 대한 최종학력의 설명력은 61.7%, 삶의 의미의 설명력은 11.6%,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의 설명력은 9.3%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수술실 간호사의 긍정적이고 확고한 간호 윤리 가치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지속적인 교육 및 자기개발을 권장하며,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높이고, 삶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하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목차
I. 서 론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48 5 과학 기술 사회 프랑스 출산장려를 위한 가족정책의 젠더적 함의 / 김민정 2018  105
3647 12 낙태 낙태 담론과 낙태 합법화 추이 / 김민지 2018  105
3646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5
3645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성민 2018  105
3644 9 보건의료 요양병원 입원 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 장아영 외 2018  105
3643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2017  105
3642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정책의 정책변동과 정책네트워크 역동성 분석 / 김인자 외 2017  105
3641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5
3640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3639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5
3638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3637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5
3636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5
3635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5
3634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3633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2014  106
3632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6
363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3630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3629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7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