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293421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기타서명 Evalu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before discharge and follow-up telephone consultation based on

               self-efficacy for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저자 황영희
형태사항 ⅵ, 104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2013. 8
DDC 610.73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3
소장기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신장이식은 날로 늘어나고 있는 만성신부전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이는 치료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신장이식환자는 이식 후 거부반응을 예방하기 위하여 면역억제제를 평생 복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감염, 악성종양, 고혈압, 당뇨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이식 수술 후 지속적인 치료지시 이행이 필요하다. 신장이식환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왔으나, 치료지시 불이행으로 인한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어서 보다 환자 중심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장이식 후 퇴원 예정인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환자 각자의 교육요구도를 고려한 퇴원시 개별 교육과 추후 전화 상담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었다. 연구대상자는 2012년 8월부터 12월 사이에 수술한 환자를 대조군으로 하고, 2013년 1월부터 3월 사이에 수술한 환자를 실험군으로 시차를 두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실험군 20명, 대조군 23명의 총 4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군에게는 퇴원시 개별 교육과 퇴원 후 2주와 3주에 전화 추후관리를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입원 중 기존에 제공되어 오던 중재만을 제공하였다. 퇴원 4주 후 이식후 관리에 관한 지식, 자기효능감과 치료지시 이행을 측정하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0.0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고,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동질성 및 가설 검증은 χ2 test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이식후 관리에 관한 지식 점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2)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
 3)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의 치료지시 이행 총점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이식 수첩]에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이름, 용량, 검사결과를 기록해 둔다’(p<.024)와 ‘평상시 주기적으로 체중, 혈압, 체온을 측정하여 외래 방문시에 가져온다’(p<.025)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자기효능을 이용한 개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은 이식후 관리에 관한 지식과 치료지시 이행 총점을 증가시키지는 않았으나 자기효능감과 약물의 이름, 용량과 검사결과를 기록하고 주기적으로 체중, 혈압, 체온을 측정하는 능력은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된 자기효능감은 추후 치료지시 이행을 높일 수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료지시 이행을 높이기 위해서 이 프로그램을 장기적으로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목차
국문초록 i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이론적 기틀
Ⅵ.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논의
Ⅶ. 결론 및 제언


주제어
치료지시이행, 신장이식, 자기효능감, 개별교육, 전화상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 유전학 유전정보에 대한 윤리적 쟁점의 변천 / 조은희

발행년 2014 

  • 조회 수 515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신 놀이’ 비판 : 도덕적 트랜스휴머니즘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이을상

발행년 2014 

  • 조회 수 515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대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대한 연구 / 최보람

발행년 2010 

  • 조회 수 51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포항 지역민의 인식도 / 이상은

발행년 2008 

  • 조회 수 51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하게 죽을 권리에 대하여 / 이순성

발행년 2013 

  • 조회 수 51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와 임상윤리 / 박재훈

발행년 2013 

  • 조회 수 516

4 보건의료 철학 보건의료인과 일반인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비교 연구 / 이규숙

발행년 2002 

  • 조회 수 516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생명윤리교육 실태 / 한진아

발행년 2007 

  • 조회 수 516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발행년 2014 

  • 조회 수 516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발행년 2010 

  • 조회 수 517

18 인체실험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 배그린, 강민아

발행년 2013 

  • 조회 수 51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517

14 재생산 기술 인간 사배수체 핵 이식 배아 줄기세포의 특성 규명 / 신동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517

8 환자 의사 관계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요인 / 문명자, 이선혜

발행년 2019 

  • 조회 수 51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보호자들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관련인자 / 윤지원

발행년 2010 

  • 조회 수 51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법적 규제 / 전자영

발행년 2010 

  • 조회 수 51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의 현황 및 전망 / 한재권

발행년 2016 

  • 조회 수 518

9 보건의료 원격의료제도 현실화 문제와 개선방안 / 이한주

발행년 2018 

  • 조회 수 518

14 재생산 기술 출산의 의료화와 여성의 재생산권 / 조영미

발행년 2004 

  • 조회 수 519

1 윤리학 일조권에 관한 법적 검토 / 이재삼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