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3
발행년 : 199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7112645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 group program for stress coping for female kidney transplant patients : based on the cogntive behavioral model /  추정인


 
저자 추정인
형태사항 ix, 131p. ; 26cm.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1999. 2
KDC 338.13 4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1998
소장기관 대구대학교 도서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한성대학교 도서관


 
초록
신장이식 환자는 이식 후에도 체내에서 이식된 타인의 신장을 거부하는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약제를 계속 복용하여야 하고, 이러한 면역억제제들을 장기간 복용하므로써 부작용들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와 치료, 식이요법 등의 건강관리와 생활조절이 요구된다. 특히, 여성 신장이식환자들은 이식후 외모변화, 성, 임신, 출산, 결혼생활에서의 역할수행상에서 환자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직면하게 되는 실질적인 문제나 환자 자신의 비합리적인 신념 또는 예상으로 인해 많은 불안과 스트레스 상황에 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장이식환자들중에서도 여성환자들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비합리적인 질병에 대한 태도를 합리적으로 전환시켜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곤경, 즉 스트레스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여 대처할 수 있는 인지행동 모델을 적용한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한 후, 기타 후속 프로그램들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와 실험연구로 이루어졌다.
먼저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로는 신장이식과 관련된 의료적·심리사회적 특성과 여성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이론, 인지행동적 접근모델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인지행동 모델을 적용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실험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된 인지행동 모델을 적용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들과 본 연구자의 임상 경험을 참고로 하여 실험-통제 집단을 통한 사전-사후 검증 연구설계를 하였다.
실험연구의 대상자는 K대학병원 외래를 통해서 치료를 받고 있는 신장이식 여성환자들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이었다. 그 중 실험집단은 1998년 8월 17일부터 9월 16일까지 주 2회 150분씩 총 10회에 걸쳐 인지행동 모델인 Ellis에 의해 개발된 합리적 정서치료를 적용하고, 인지행동 치료기법인 인지 재구성, 교육, 이완 훈련으로 구성된 내용의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신장이식환자들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에 따른 효과성과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통제집단 각각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통계적 결과분석, 실험집단의 개별사례 분석과 프로그램 내용과 구조 설문지를 이용한 실험집단 대상자의 평가를 통해 통계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집단 프로그램의 개입효과와 제한점을 규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신장이식환자를 위한 사회사업적 실천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통제집단에 3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다. 스트레스 정도 측정은 Kanner 등에 의해 개발된 일상생활곤경 척도(Daily Hassles Scale : Hassles)를 사용하였고, 불안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1972년 Spielberger가 개발한 상태-특성 불안 척도(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비합리적인 질병태도 정도 측정은 1985년 Robert Kellner에 의해 개발된 질병태도 척도(Illness Attitude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통계 패케지를 통하여 Wilcoxon Matched-Pairs Singed-Ranks Test,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r), Cronbach's α, 백분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프로그램이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실험집단중 사례 1, 사례 6, 사례 8은 사전 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높아진 이유는 별거, 사별, 부부 갈등으로 인해 가정내에서 실질적인 가장의 역할을 하거나 자녀 양육 등의 문제로 일상생활에서 단시간내에 해결될 수 없는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실험집단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의 스트레스 척도의 점수가 낮아졌고, 통제집단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의 스트레스 척도의 점수가 높아졌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본 집단 프로그램이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어느 정도 유용한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고 하겠다.
둘째, 집단 프로그램이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실험집단중 사례 3과 사례 7이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증가한 이유로, 사례 3은 실험집단중 사전점수가 제일 낮았으나 본 프로그램이 다 끝나고 2일후 본인이 임신한 사실을 알게 되어 임신전 면역억제제 복용이 태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걱정이 무척 컸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례 7은 프로그램 9회와 10회때 신장이식 후의 합병증인 안압으로 인해 검사와 외래치료를 병행하고 있어서 치료에 대한 불안이 무척 컸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실험집단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의 불안 척도의 점수가 낮아졌고, 통제집단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의 불안 척도의 점수가 높아졌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본 집단 프로그램이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어느 정도 유용한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고 하겠다. 또한 만성신부전 진단을 받은 후 신장이식수술까지의 기간이 길수록 불안의 정도가 심하고, 비합리적인 신념이 강할수록 불안의 정도가 심하다는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
셋째, 집단 프로그램이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비합리적인 질병태도를 감소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그리고, 비합리적인 질병태도 척도 하위 변인별 사전-사후 검사상에서도 ‘건강염려적인 신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신장제공자와 비합리적인 질병태도, 만성신부전증외의 다른 질병을 갖고 있는 사람과 비합리적인 질병태도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사례분석과 설문지를 이용한 집단 대상자들의 주관적 평가를 통해서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해서는 효과가 있었고, 본 프로그램을 대개 긍정적으로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신장이식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사업가의 개입과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신장이식환자중에서도 여성집단을 대상으로 그들이 당면한 스트레스를 인지행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집단 프로그램을 시도해 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사례수가 적고, 여성신장이식환자 일부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므로 모든 신장이식환자에게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차원의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를 관리해주는 의료사회사업가의 보다 활발한 활동을 기대하면서 몇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효과적이었던 인지행동 모델을 중심으로 한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이 의료기관의 신장이식환자뿐만 아니라 장기이식, 만성질환과 같은 다양한 환자들에게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 한국에서는 의료사회사업가의 인원, 역할이 제한되어 환자에 대한 의료사회사업 서비스의 질이 미약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의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들의 활성화되어 의료사회사업가를 질적·양적인 면에서 확대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의 방법
Ⅳ. 집단 프로그램의 실제
Ⅴ. 연구의 결과 및 분석
Ⅵ. 결론 및 제언


주제어
여성, 신장이식환자, 스트레스, 집단프로그램, 인지행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93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
92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91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종료 단계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정화성 2015  596
9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8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 돌봄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통증과 고통을 중심으로 / 박상현 2015  477
88 4 보건의료 철학 심폐소생술금지와 관련된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조사 및 비교 / 성수영 2015  319
87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2016  585
8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8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2
8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교육용 CD-ROM 개발 / 임효련 2007  221
»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5
8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2
8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9
8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3
79 15 유전학 GJB1 돌연변이로 일어나는 CMTX 환자의 유전학적 코호트 연구 / 김성민 2016  307
78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조경혜 2017  170
77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 / 허대석 2008  2860
7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법제화의 방향 / 주호노 2013  601
7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 정도희 2010  568
7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