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199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7112645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 group program for stress coping for female kidney transplant patients : based on the cogntive behavioral model /  추정인


 
저자 추정인
형태사항 ix, 131p. ; 26cm.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1999. 2
KDC 338.13 4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1998
소장기관 대구대학교 도서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한성대학교 도서관


 
초록
신장이식 환자는 이식 후에도 체내에서 이식된 타인의 신장을 거부하는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약제를 계속 복용하여야 하고, 이러한 면역억제제들을 장기간 복용하므로써 부작용들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와 치료, 식이요법 등의 건강관리와 생활조절이 요구된다. 특히, 여성 신장이식환자들은 이식후 외모변화, 성, 임신, 출산, 결혼생활에서의 역할수행상에서 환자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직면하게 되는 실질적인 문제나 환자 자신의 비합리적인 신념 또는 예상으로 인해 많은 불안과 스트레스 상황에 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장이식환자들중에서도 여성환자들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비합리적인 질병에 대한 태도를 합리적으로 전환시켜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곤경, 즉 스트레스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여 대처할 수 있는 인지행동 모델을 적용한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한 후, 기타 후속 프로그램들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와 실험연구로 이루어졌다.
먼저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로는 신장이식과 관련된 의료적·심리사회적 특성과 여성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이론, 인지행동적 접근모델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인지행동 모델을 적용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실험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된 인지행동 모델을 적용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들과 본 연구자의 임상 경험을 참고로 하여 실험-통제 집단을 통한 사전-사후 검증 연구설계를 하였다.
실험연구의 대상자는 K대학병원 외래를 통해서 치료를 받고 있는 신장이식 여성환자들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이었다. 그 중 실험집단은 1998년 8월 17일부터 9월 16일까지 주 2회 150분씩 총 10회에 걸쳐 인지행동 모델인 Ellis에 의해 개발된 합리적 정서치료를 적용하고, 인지행동 치료기법인 인지 재구성, 교육, 이완 훈련으로 구성된 내용의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신장이식환자들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에 따른 효과성과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통제집단 각각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통계적 결과분석, 실험집단의 개별사례 분석과 프로그램 내용과 구조 설문지를 이용한 실험집단 대상자의 평가를 통해 통계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집단 프로그램의 개입효과와 제한점을 규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신장이식환자를 위한 사회사업적 실천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통제집단에 3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다. 스트레스 정도 측정은 Kanner 등에 의해 개발된 일상생활곤경 척도(Daily Hassles Scale : Hassles)를 사용하였고, 불안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1972년 Spielberger가 개발한 상태-특성 불안 척도(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비합리적인 질병태도 정도 측정은 1985년 Robert Kellner에 의해 개발된 질병태도 척도(Illness Attitude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통계 패케지를 통하여 Wilcoxon Matched-Pairs Singed-Ranks Test,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r), Cronbach's α, 백분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프로그램이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실험집단중 사례 1, 사례 6, 사례 8은 사전 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높아진 이유는 별거, 사별, 부부 갈등으로 인해 가정내에서 실질적인 가장의 역할을 하거나 자녀 양육 등의 문제로 일상생활에서 단시간내에 해결될 수 없는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실험집단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의 스트레스 척도의 점수가 낮아졌고, 통제집단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의 스트레스 척도의 점수가 높아졌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본 집단 프로그램이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어느 정도 유용한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고 하겠다.
둘째, 집단 프로그램이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실험집단중 사례 3과 사례 7이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증가한 이유로, 사례 3은 실험집단중 사전점수가 제일 낮았으나 본 프로그램이 다 끝나고 2일후 본인이 임신한 사실을 알게 되어 임신전 면역억제제 복용이 태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걱정이 무척 컸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례 7은 프로그램 9회와 10회때 신장이식 후의 합병증인 안압으로 인해 검사와 외래치료를 병행하고 있어서 치료에 대한 불안이 무척 컸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실험집단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의 불안 척도의 점수가 낮아졌고, 통제집단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의 불안 척도의 점수가 높아졌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본 집단 프로그램이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어느 정도 유용한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고 하겠다. 또한 만성신부전 진단을 받은 후 신장이식수술까지의 기간이 길수록 불안의 정도가 심하고, 비합리적인 신념이 강할수록 불안의 정도가 심하다는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
셋째, 집단 프로그램이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비합리적인 질병태도를 감소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그리고, 비합리적인 질병태도 척도 하위 변인별 사전-사후 검사상에서도 ‘건강염려적인 신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신장제공자와 비합리적인 질병태도, 만성신부전증외의 다른 질병을 갖고 있는 사람과 비합리적인 질병태도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사례분석과 설문지를 이용한 집단 대상자들의 주관적 평가를 통해서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해서는 효과가 있었고, 본 프로그램을 대개 긍정적으로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신장이식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사업가의 개입과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신장이식환자중에서도 여성집단을 대상으로 그들이 당면한 스트레스를 인지행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집단 프로그램을 시도해 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 사례수가 적고, 여성신장이식환자 일부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므로 모든 신장이식환자에게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차원의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를 관리해주는 의료사회사업가의 보다 활발한 활동을 기대하면서 몇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효과적이었던 인지행동 모델을 중심으로 한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이 의료기관의 신장이식환자뿐만 아니라 장기이식, 만성질환과 같은 다양한 환자들에게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 한국에서는 의료사회사업가의 인원, 역할이 제한되어 환자에 대한 의료사회사업 서비스의 질이 미약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의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들의 활성화되어 의료사회사업가를 질적·양적인 면에서 확대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목차
논문개요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의 방법
Ⅳ. 집단 프로그램의 실제
Ⅴ. 연구의 결과 및 분석
Ⅵ. 결론 및 제언


주제어
여성, 신장이식환자, 스트레스, 집단프로그램, 인지행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505
124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83
124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7
124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16
124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73
124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300
124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51
124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 / 송정미 2015  245
124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51
124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5
123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2007  350
123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에 있어서 간동맥 재건을 위한 특수 미세혈관수술교육의 효과 : 미세수술교육부터 임상적용까지 / 허위광 2010  96
123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300
123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이식 후의 원발성 피부암 발생률 분석 / 박경훈 2010  422
»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34
1234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2004  328
123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교육용 CD-ROM 개발 / 임효련 2007  223
123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40
1231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수술 후 출혈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김미형 2015  341
123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2013  333
122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