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54221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하에서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gital Forensics Investigation Procedure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권양섭


 
제어번호 101954221
저자명 권양섭(Yang Sub Kwon)
학술지명 법학연구
권호사항 Vol.61 No.- [2016] 
발행처 한국법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3-120(28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As the entire process of digital forensic should have a legal basis, it is a crucial matter what kind of legal proceedings are needed depending on the spaces and forms where evidence exis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to suggest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procedures that can comply with the Criminal Procedure Law and judicial precedents of Supreme Court by deriving the meaning of criminal procedures which technical elements have. In suggesting a model of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procedures, due process of law must be implemented among other things. To this end, there is a need to analyze current laws. This research examined several laws that can be the rules for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procedures including the Criminal Procedure Law, the National Police Agency’s instruction ‘the rules of digital evidence acquisition and processing’, and Supreme Prosecutor’s Office’s regulation ‘the regulations of digital forensic investigators’ collection and analysis of evidence’.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court documents ‘the object of seizure and the limitation of methods’ attached to a seizure and search warrant issued by a court and judicial precedents of Supreme Court. This study proposed a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model that is suited to Korea’s legal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ent laws and judicial precedents. This research put forward methods of seizing digital evidence and their specific procedures and also suggested how to process evidence of new criminal facts that can be found when analyzing evidence, how to guarantee and notify the participation right of people whose possessions are seized, and how to make and issue a list of seized items.

 
목차
Ⅰ. 서 론
Ⅱ.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과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
Ⅲ. 현행 디지털 증거수집 관련 법령 및 판례 분석
Ⅳ. 증거수집 단계에서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 제안
Ⅴ. 결 론


주제어
디지털 포렌식  ,디지털 증거  ,압수  ,수색  ,유비쿼터스 컴퓨팅  ,증거수집  ,Digital Forensic  ,Digital Evidence  ,Search and Seizure  ,Ubiquitous Computing  ,Collecting Evidenc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70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2018  251
2707 14 재생산 기술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와 관련한 민사적 쟁점 -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신의칙에 근거한 알권리의 인정여부를 중심으로 - / 윤석찬 2018  251
270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적안녕 및 삶의 질과의 관계 / 박미영 2015  251
2705 12 낙태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인간존엄성 위기 논의를 중심으로 / 류화신 2015  251
» 1 윤리학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하에서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에 관한 연구 / 권양섭 2016  251
2703 15 유전학 CRISPR/Cas9 β-globin gene targeting in human haematopoietic stem cells 2016  251
2702 16 환경 나고야 의정서의 법적 쟁점과 우리나라 입장에 관한 제언/김명자, 손영현, 김혜영 2014  251
2701 9 보건의료 요양급여기준의 법적 성격과 요양급여기준을 벗어난 원외처방행위의 위법성 -대법원 2013. 3. 28. 선고 2009다78214 판결을 중심으로-/현두륜 2014  251
2700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과 유전자 윤리/홍정화 2010  251
2699 22 동물복지 생명존중문화를 위한 국내 동물실험윤리의 한계와 전망/박창길 2016  251
2698 18 인체실험 KAIRB의 IRB 평가분석을 통한 국내 피험자보호제도(HRPP) 개선방향 / 최병인 2012  251
2697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간이식 후 상담 및 교육 / 전경옥 2018  250
2696 5 과학 기술 사회 현행 성폭력범죄 대책의 문제점과 보완방향 / 김태명 2018  250
2695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50
2694 9 보건의료 카데바를 이용한 해부학 실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손인아 2013  250
269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핀테크 / 김원걸 2016  250
2692 18 인체실험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경세포구를 이용한 망막전구세포의 분화 및 생존에 관한 연구 / 윤철민 2016  250
2691 15 유전학 웹 기반 유전체 데이터 분석 서비스 지원을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유전체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개발 / 송명선 2012  250
2690 5 과학 기술 사회 [편집장 칼럼] 브레인 2016 3대 키워드 : AI(인공지능), 뇌파, 감정 관리/장래혁 2016  250
268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Industrialization of Medicine and Medical Professionalism: Bioethical Critiques / Lee Paul Inkook 2015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