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82865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The Problems of Pilot Projection for Telemedicine and Law of Medicine

 
제어번호 100582865
저자명 김현주(Kim, HyeonJu)  ,허정식(Huh, JungSik) 

학술지명 한국의료법학회지
권호사항 Vol.23 No.1 [2015] 
발행처 한국의료법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20(14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현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은 삶의 질과 인간의 건강을 높이기 위해 전기통신과 첨단 기술이 접목된 시대에 살고 있다. 원격진료는 이러한 많은 정보와 첨단의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을 뛰어 넘고 있다. 초기 형태의 원격진료는 전화기와 라디오 주파를 이용하여 바다에서 일을 하다 발생되는 환자나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는 도서지역의 주민들을 위해 시작되었다.
미국, 호주의 경우에 원격진료는 넓은 영토와 의료진의 부족과 의료비용의 증가를 감소시키고, 멀리 떨어져 의료기관이 부족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원격진료의 허용범위, 의료수가의 적용여부, 원격진료를 위한 면허소지 등은 각 나라마다 정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많은 주로 구성된 국가로 주마다 다르게 시행되고 있으며 각 주는 주 고유의 의료정책을 가지고 있어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사보험 모형, 의료정보의 개인 및 자료보관과 원격진료를 할 수 있는 면허의 허용기준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주마다 법이 달라 원격의료를 원하는 의료진은 각 주에서 허용하는 면허가 무엇인 지에 따라 특정한 주에서만 허용이 되는 면허가 있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그 주에 맞는 면허를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의료법에 원격진료에 대한 규정에는 단지 원격진료를 위한 시설과 장비에 대해 규정이 되어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떠한 의료행위를 허용할 것인지, 의료보험수가 적용문제, 원격처방전 등에 대하여 법적으로 아직 완비되어 있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도서지방을 중심으로 진행 중인 원격진료시범사업은 대한의사협회와 많은 시민단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행이 되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시행 중인 원격진료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이나 만성질환에 대한 상담에서 만족도가 좋다고 하지만 아직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직접 환자를 대면하는 환자와 의사의 대면진료에 비하여 의학적인 결과나 의료비용적인 측면에서 월등하게 좋다는 근거는 아직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원격진료의 전체적인 실시는 시기상조라고 생각이 되며 원격진료와 관련된 이해당사자들과의 공통적인 공감, 특히 원격진료를 시행하기 위한 목적과 허용범위 등에 대하여 충분한 의견조율을 거쳐야 하며, 앞으로 의료분야 중 어떠한 분야가 이러한 원격진료에 알맞은 지에 대해 과학적으로 충분하게 입증이 될 수 있는 잘 구성이 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원격진료의 입법과 실무
Ⅲ. 우리나라 의료계의 의견과 시범사업의 문제점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주제어
원격의료  ,이해당사자  ,전기통신  ,기술  ,정보보안  ,의료진  ,Telemedicine  ,Stakeholder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Data security  ,Clinicia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88 1 윤리학 중용(mesot?s)의 양적 또는 비(非)양적 해석 문제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절제’, ‘용기’, ‘온화’를 중심으로 / 이정주 2016  434
368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4
3686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33
3685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2015  433
3684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2014  433
3683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2
»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2
368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 -여호와 증인의 수혈거부사건을 둘러싸고-/박태신 2015  432
3680 9 보건의료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이원복 2015  432
3679 9 보건의료 희귀·난치성질환 가족의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그리고 자조모임 활동을 중심으로 / 최인희 2015  432
367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상률 2010  432
3677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한계로서의 공서양속 / 이은영 2011  432
3676 14 재생산 기술 인간 착상 과정에 자궁내막과 배아의 역할 / 지병철 2009  431
3675 15 유전학 유전체 정보의 한우 육종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승수 2013  431
3674 14 재생산 기술 불임지원 활성화를 위한 불임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서유미 2009  430
3673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고찰/김현철,김은애 2015  429
3672 15 유전학 유전자조작 기술과 스포츠윤리 쟁점 연구 / 박성주 2018  428
367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28
3670 15 유전학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 / 김상현 2014  428
366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2005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