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4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82865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The Problems of Pilot Projection for Telemedicine and Law of Medicine

 
제어번호 100582865
저자명 김현주(Kim, HyeonJu)  ,허정식(Huh, JungSik) 

학술지명 한국의료법학회지
권호사항 Vol.23 No.1 [2015] 
발행처 한국의료법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20(14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현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은 삶의 질과 인간의 건강을 높이기 위해 전기통신과 첨단 기술이 접목된 시대에 살고 있다. 원격진료는 이러한 많은 정보와 첨단의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을 뛰어 넘고 있다. 초기 형태의 원격진료는 전화기와 라디오 주파를 이용하여 바다에서 일을 하다 발생되는 환자나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는 도서지역의 주민들을 위해 시작되었다.
미국, 호주의 경우에 원격진료는 넓은 영토와 의료진의 부족과 의료비용의 증가를 감소시키고, 멀리 떨어져 의료기관이 부족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원격진료의 허용범위, 의료수가의 적용여부, 원격진료를 위한 면허소지 등은 각 나라마다 정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많은 주로 구성된 국가로 주마다 다르게 시행되고 있으며 각 주는 주 고유의 의료정책을 가지고 있어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사보험 모형, 의료정보의 개인 및 자료보관과 원격진료를 할 수 있는 면허의 허용기준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주마다 법이 달라 원격의료를 원하는 의료진은 각 주에서 허용하는 면허가 무엇인 지에 따라 특정한 주에서만 허용이 되는 면허가 있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그 주에 맞는 면허를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의료법에 원격진료에 대한 규정에는 단지 원격진료를 위한 시설과 장비에 대해 규정이 되어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떠한 의료행위를 허용할 것인지, 의료보험수가 적용문제, 원격처방전 등에 대하여 법적으로 아직 완비되어 있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도서지방을 중심으로 진행 중인 원격진료시범사업은 대한의사협회와 많은 시민단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행이 되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시행 중인 원격진료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이나 만성질환에 대한 상담에서 만족도가 좋다고 하지만 아직 다양한 의료분야에서 직접 환자를 대면하는 환자와 의사의 대면진료에 비하여 의학적인 결과나 의료비용적인 측면에서 월등하게 좋다는 근거는 아직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원격진료의 전체적인 실시는 시기상조라고 생각이 되며 원격진료와 관련된 이해당사자들과의 공통적인 공감, 특히 원격진료를 시행하기 위한 목적과 허용범위 등에 대하여 충분한 의견조율을 거쳐야 하며, 앞으로 의료분야 중 어떠한 분야가 이러한 원격진료에 알맞은 지에 대해 과학적으로 충분하게 입증이 될 수 있는 잘 구성이 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원격진료의 입법과 실무
Ⅲ. 우리나라 의료계의 의견과 시범사업의 문제점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주제어
원격의료  ,이해당사자  ,전기통신  ,기술  ,정보보안  ,의료진  ,Telemedicine  ,Stakeholder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Data security  ,Clinicia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3
33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규제·진흥의 딜레마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김인자 2016  342
32 8 환자 의사 관계 양방의료행위와 한방의료행위의 의의 및 중첩 양상에 관한 판례의 태도에 대한 고찰 / 백경희, 장연화 2014  338
31 1 윤리학 이항녕 선생과 법과 도덕 : 생명윤리법을 중심으로 / 이인영 2013  338
30 15 유전학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과 독력 유전자의 분석을 활용한 융합기술연구 / 한재일 외 2015  328
29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기술 기반 서비스 산업의 딥러닝/ 황용득 2018  328
28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23
27 10 성/젠더 난자 :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 조주현 2007  314
26 18 인체실험 한국 줄기세포연구정책 거버넌스의 특성 / 김명심 2015  310
25 18 인체실험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법적 보호와 전망 / 박종용 2013  291
24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시대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 / 엄미정 2016  275
23 5 과학 기술 사회 사회여론 수렴방법으로서의 시민 합의회의 : 이종이식 문제를 중심으로 / 모효정, 권복규 2009  262
22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21 8 환자 의사 관계 미검증 의료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정책학적 연구 / 채규현 2015  253
20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 목광수 2017  226
19 18 인체실험 유도만능 줄기세포 제작 기술의 발전 및 응용 / 조승우 외 2014  216
18 20 죽음과 죽어감 유비쿼터스시대의 윤리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문명사회의 공유와 감시체제를 중심으로 / 이지향 2015  210
17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1
16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2008  201
15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