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39403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Patient Safety and It"s Legal System


 
제어번호 101739403
저자명 신은주(Shin, Eun-Joo) 
학술지명 한국의료법학회지
권호사항 Vol.23 No.2 [2015] 
발행처 한국의료법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31(25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의료과학기술의 발전은 질병의 치료가능성을 높여 건강을 증진시키고 생명을 연장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지만 위험도 수반하고 있다. 또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의료서비스는 점점 더 고도화되었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의료서비스로 인하여 병원은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환자는 세분화되고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의료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으면 환자에게 위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내재하고 있는 단점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또한 인간은 완전하지 않으므로 의료서비스가 항상 완벽하게 제공될 수 없기 때문에 의료사고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도 없다. 이와 같이 의료서비스 제공과정에서 생기는 위해의 가능성은 그것이 현실화되는 경우에 환자의 사망이라는 치명적인 위험을 가져 오기 때문에 이러한 위해가 현실화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환자의 안전은 바로 이러한 위해의 사전저지를 통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위해를 사전에 저지할 수 있는 법적 제도가 마련될 것이 요구되었다. 환자안전법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환자안전법은 리스크에 대한 사전예방을 위한 위험방지법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법을 통하여 환자에게 발생할 리스크가 무엇이고 그 리스크의 정도와 그 대처방안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어야 환자의 위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환자안전법은 실제로 리스크관리를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정보수집을 위한 법적 제도뿐만 아니라 환자안전시책을 마련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 놓고는 있으나 그 내용이 허술하고 정보수집에만 치중한 입법이어서 종합적인 환자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내용을 가지도록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

 

 
목차
I. 서언
II. 위험사회에 있어서 위험과 안전
III. 환자의 안전과 안전 법제
IV. 환자안전법의 기능과 과제
V. 결어


주제어
위험사회  ,리스크관리  ,사전배려  ,환자안전  ,환자안전법  ,환자정보수집  ,health car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patient safety  ,report syst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9 1 윤리학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법제 정비 방안/ 김유림 2019  631
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2
47 9 보건의료 고령친화 의료기기의 안전관리방안 연구 / 임경민, 송동진 2018  68
46 9 보건의료 감염환자 검사자의 안전권,건강권,의료환경권 / 박상웅 2017  182
45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4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43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42 22 동물복지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황수진 2015  256
41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2007  626
40 22 동물복지 도축되는 한우 혈액에서 회수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 김민수 외 2012  273
39 1 윤리학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 원종욱 2016  249
38 9 보건의료 일본의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부작용에 대한 피해구제제도와 시사점 / 최철호 2016  326
37 9 보건의료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정오 외 2015  171
36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20
»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34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33 18 인체실험 국내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의 현황과 문제점 / 이준석 외 2006  634
32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31 2 생명윤리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인간대상연구에 있어 동의 관련 규범적 문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의 동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312
30 14 재생산 기술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장복희 2015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