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07286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an Integrated Death Preparation Educational Program on the Death Attitude and Meanings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저자 길태영
형태사항 176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윤경아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실천전공 2016. 2
발행국 대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대전대학교 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장애노인들을 대상으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죽음에 대한 태도(정서적 불안, 인지적 수용, 행동적 반응)와 삶의 의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통합연구방법에서 양적 연구는 장애등급을 갖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 총 40명을 조사 대상으로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조사를 활용하여 사전-사후-추후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는 장애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토론을 연구시작 시기 - 포커스 그룹 진행 중 - 포커스 그룹 진행 후 3단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를 통합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양적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와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험집단의 추후 검사 결과에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정서적 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지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결과에서도 죽음과 관련된 논점에 대해 토론할 필요성과 의지가 있음을 증명해주었다. 따라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죽음과 죽어가는 과정의 다차원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자유롭게 죽음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기회를 갖는 것은 죽음에 대한 정서적 불안을 해소하거나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인지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양적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와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험집단의 추후 검사 결과에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인지적 수용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지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결과에서도 장애인으로 태어나 꿋꿋하게 살아낸 굴곡진 삶과 약속한 시간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죽음을 수용한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장애노인의 삶과 죽음에 대한 인지적 수용의 내용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보편적인 태도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행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양적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와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험집단의 추후 검사 결과에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 행동적 반응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지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결과에서도 장애노인들이 조금이라도 건강하고 의식이 또렷할 때 죽음에 대한 의미 탐색 및 죽음관련 정보를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장애노인들이 무의미한 연명치료가 아닌 인간다운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준비활동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죽음을 대비하는 실천적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양적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와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 실험집단의 추후 검사 결과에서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이 장애노인의 삶의 의미를 향상시키는 효과와 지속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결과에서도 비록 아픈 몸으로 평생을 살았지만 험난한 인생을 꽃처럼 밝게 희망을 잃지 않았던 자신의 삶 자체가 영광스러운 축복이라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삶과 죽음의 마지막 단계를 살아가는 장애노인들이 최후의 순간까지 자신의 삶을 진심으로 의미 있게 살아가도록 돕는 것은 삶을 하나의 의미 있는 전체성으로 완성시킬 수 있는 통합된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장애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삶의 목표와 의미를 강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장애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하다.
둘째, 근거중심 사회복지실천교육의 진행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죽음준비교육 전문가는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전체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장애노인을 위한 사별관리서비스와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확대가 절실히 필요하다.
넷째, 죽음준비교육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대상자들이 살아온 삶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이 있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Ⅴ.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Ⅵ. 결론 및 제언


주제어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죽음에 대한 태도, 삶의 의미, 장애노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88 9 보건의료 제네릭 의약품 가격이 점유율에 미치는 효과분석 / 신주영, 최상은 2008  78
587 5 과학 기술 사회 휴머노이드 로봇 캐릭터 개발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 라인 / 우명희 2004  78
586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8
58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의 한계 / 오세혁, 정화성 2010  78
584 15 유전학 From consent to institutions: Designing adaptive governance for genomic biobanks 2011  78
583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7
582 9 보건의료 현행 및 개정안 환자안전법의 자율보고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신재명 외 2018  77
58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이해를 통한 상담의 교육적 필요성과 과제 / 임진옥 2006  77
580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7
57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 완화의료의 인지도 제고를 위한 PR전략 탐색 /김병희 외 2018  77
578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7
57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심세화 2017  77
576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미국의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규범과 의료인의 면책규정이 주는 시사점 / 이인영 2008  77
575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574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1994  77
573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혜경, 김성수 2019  76
572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571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570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569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