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13430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저자 김수진
형태사항 214 p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장성옥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과학 전공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초록
최근 우리나라는 노인인구와 만성질환이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웰빙과 함께 웰다잉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인요양시설의 거주자들은 다양한 만성질환과 함께 일상생활에 제한이 있는 고령자로 그들과 가족들은 대부분 적극적 치료보다는 완화치료를 선호하며, 노인요양시설에서 임종까지 맞이하길 기대한다. 치매, 중풍, 파킨슨 등의 다양한 만성적 질환들은 예후를 예측하기가 어렵고,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많은 대상자들은 임종의 명확한 단계나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노인요양시설에서의 호스피스·완화간호는 암환자와는 다른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 현대 노인의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죽음까지 관리하는 웰다잉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으며, 건강한 노인도 이러한 웰다잉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역사회보다 임종에 가까운 허약노인이 거주하는 시설인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죽음까지 관리하는 웰다잉의 개념이 실무에서 보편화되어 있지 않고, 노인 대상자들의 마지막 삶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웰다잉과 관련된 가이드라인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에서 거주하는 고령의 장애 노인이 임종까지 맞이할 수 있도록 노인요양시설 업무에 임종간호에 대한 내용 포함과, 요양시설 거주노인이 평화로운 죽음을 맞도록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대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의 개발의 요구와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거주하는 노인들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노인요양시설에서의 간호 실무편차를 감소시키고,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면서 평화로운 생의 마지막 정리를 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CODM(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 인터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연구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3단계 연구로 구성되었으며,
- 1단계에서는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문헌고찰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모델을 도출하였다.
- 2단계에서는 도출된 모델을 기반으로 주제와 관련된 참여자들의 합의를 통해 가이드라인을 이끌어 내는 방법론적 접근인 CODM(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 인터뷰 분석을 통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의 기본내용을 구성하였다.
- 3단계에서는 가이드라인 기본내용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를 평가하여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을 결정하였다.

각 단계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노인요양시설 입주부터 임종까지의 기간을 준비기, 예측기, 임종기의 진행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진행기간 동안 웰다잉을 위한 목표인 존엄성 유지, 죽음 수용, 희망을 달성하기 위해 사정, 전략, 평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존엄성 유지는 준비기부터 임종기까지, 죽음 수용과 희망은 준비기 후반부터 임종기까지 달성해야 할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웰다잉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대상자, 가족, 간호사의 역할이 함께 포함되고 있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입주부터 시작하여 웰다잉까지 기간을 준비기, 예측기, 임종기 3개 영역과 각각 영역에서의 고려사항, 사정내용, 존엄성 유지전략, 죽음 수용의 전략, 희망의 전략, 평가로 구성되었으며, 임종기에는 마무리까지 포함되어 19개의 하위영역으로 구분되었고, 112개의 가이드라인 항목이 구성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임종간호에 대한 업무기준과 내용이 명확히 없는 상황에서 가장 현실적이고 간호사라면 할 수 있는 내용 중심의 가이드라인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112개의 구성된 가이드라인 항목 중 내용 타당도 지수(CVI) 4점 이하즉, CVI 80% 이하로 합의된 항목과 각 항목의 코멘트 된 내용을 중심으로 삭제 및 수정되어 총 103개 항목이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으로 확정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은 노인요양시설 거주자를 위하여 웰다잉 간호실무 향상을 위한 가이드로 활용될 수 있으며, 노인요양시설 입주부터 삶에 대한 의미와 마지막 정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 노인요양시설에서 마지막 삶을 지내는 거주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인간다운 삶과 마무리를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용어 정의
Ⅱ. 문헌고찰
1. 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의 의미와 정의
2. 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전략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3. 연구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4. 연구절차
1) 제 1단계 :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문헌고찰
2) 제 2단계 : Consensus Oriented Decision Making을 통한 가이드라인 초안 개발
3) 제 3단계: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Ⅳ. 연구결과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문헌고찰
2. CODM 토론을 통한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3.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Ⅴ. 논의
1.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적용성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Ⅶ. 참고문헌
Ⅷ. 부록


주제어
간호실무, 웰다잉, 노인요양시설, 가이드라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26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 / 송정미 2015  237
426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4
426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295
426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425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425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3
425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3
425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8
425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2
425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6
425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1
425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8
4251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6
425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가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주연 2016  183
424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의 구성 타당도 중심의 검증 / 윤석준 2016  435
424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3
»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김수진 2016  612
4246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2016  276
4245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4244 9 보건의료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르스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이승아 2016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