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언론학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51802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How did MERS Outbreak Become a Political Matter? : How Political Ideology Moderates 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Beliefs on Citizens’ Attribution Process of MERS Outbreak

  
 
제어번호 101951802
저자명 장경은(Kyungeun Jang)  ,백영민(Young Min Baek)
학술지명 韓國 言論學報(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권호사항 Vol.60 No.3 [2016] 
발행처 한국언론학회 
발행처 URL http://www.comm.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6-65(3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의 건강관련 신념과 정치관련 신념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러한 신념이 2015년 한국의 메르스 감염확산 사태의 원인에 대한 인식과 책임소재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귀인이론에 기반을 두고 건강통제영역 인식성향이 ‘정부’, ‘대형병원’, ‘메르스 감염자’라는 각 주체에 대한 원인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끼친 후 책임귀인으로 이어지는지를 살펴보는 매개효과를 설정하였으며, 이 매개효과가 응답자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2015년 7월 16일부터 21일까지 할당표집한 표본 86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건강통제영역 인식성향은 내적 HLC, 전문가 HLC, 운명 HLC의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분하였고, 정치적 성향은 진보, 중도, 보수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HLC 성향은 메르스 감염자에 대한 원인인식을 통해 책임귀인으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보수주의자에게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전문가 HLC 성향은 정부나 대형병원에 대한 원인인식을 통해 책임귀인으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보수주의자보다 진보주의자나 중도주의자에게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셋째, 운명 HLC 성향에 대해서는 뚜렷한 매개효과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정치적 성향에 따라서도 이 효과는 달라지지 않았다.

 

목차
1. 서문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주제어
건강통제영역  ,정치적 성향  ,개인귀인  ,사회귀인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health locus of control  ,political ideology  ,individual attribution  ,structural attribution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48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1947 2 생명윤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추병완 2015  253
1946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의 적응증 / 김용주 2001  253
1945 8 환자 의사 관계 미검증 의료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정책학적 연구 / 채규현 2015  253
194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평가 중에 발생한 심장사 후 장기기증에 의한 신장이식: 단일기관 장기추적 결과 / 허나윤 외 2015  253
1943 18 인체실험 충북대학교의 IRB 운영체제와 연구자 이용실태 및 제언 / 박상희 2016  253
194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환경윤리의 비교 연구 / 김일방 2016  253
1941 9 보건의료 암 환자의 재활치료 활성화를 위한 수가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김준성 2017  253
1940 1 윤리학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과 도덕교육적 의미 / 김동창 2017  253
193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선종수 2017  253
1938 1 윤리학 과 비판적 사고 / 김세화 2005  254
1937 15 유전학 한국 바이오뱅크 정보화사업의 평가모형 개발 및 중요도 분석 / 주병철, 김대성, 주민석 2013  254
1936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1935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4
1934 12 낙태 여성주의 안에 나타나는 딜레마에 대한 이해 시도 / 최형미 2014  254
193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장기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김주영 2003  254
1932 9 보건의료 군 보건의료의 문제점과 법률적 개선방안 / 우정민 2018  254
193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 / 고명환 2011  255
1930 2 생명윤리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특성에 따른 심의 / 김시형 2016  255
1929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