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61460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제어번호 101961460
저자명 김광연 
학술지명 哲學硏究(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권호사항 Vol.138 No.- [2016] 
발행처 대한철학회 
발행처 URL http://www.sophia.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0(3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KDC 151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칸트는 어느 사상가들보다 ‘인간학’에 집중하고, ‘인간 존엄성’을 집대성한 철학자 중에 한 사람이었다. 그는 인간 존중의 윤리학을 통해 인간 존엄성의 끈거를 찾기 시 작했다 칸트는 인간을 단지 수단으로서가 아년 항상 목적으로 대우하라고 했다 인간 존엄성은 ‘선험적으로’ 획득되어지지만, 그것을 지켜 나가기 위해서는 인간다움의 목표 곧, 인간이 스스로 만든 도덕법칙을 준수해야 했다. 칸트는 언제나 항상 지켜야 할 ‘보편법칙의 정식’ 을 제시하고 있다 이보편타당한 법칙은 ‘정언명법’의 형식으로서 이성적 인간이라면 마땅히지켜야할 덕목으로도 이해된다. 인간은 존엄한 존재로서 태어나지만 그렇다고 존엄한 가치 를 영원히 보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칸트에게 인간은 ‘인격체로서의 인간’, 즉 도덕적이고 동시에 실천적인 이성의 주체로서 행위 할 때, 비로소 그 인간이 존엄한 대우를 받을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칸트의 ‘인간론’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인간 존엄성의근거 를 밝히고, 인간 존엄성은 보편타당한 도덕법칙과의 매우 밀접한 관련성 이 있음을 제시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도덕법칙은 인간 존엄성을 실현하는데 꼭 필연적으로 요청되어진다는 것도 논의할 것 이다 칸트의 보편타당한 윤리 이론이 현대 생명공학 시대에 틀어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생명공학 시대에 그의 윤리 이론은 ‘보편타당한 원칙’에 입각하기 때문에 인간생명을 다루는 영역에서는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인간존중의 윤리가 가진 함의는 분명 있어 보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칸트가 제시한 ‘보편법칙 ’ 즉 보편화 가능성으로서의 윤리에 대한 특정과 한계를 제시하고, 현대 생명리에 나타난 개별적이고 특수적인 사례 를 통해 칸트 윤리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명공학시대에 필요한 양보와 소통이 가능한 실천윤리를 제시할 것이다



주제어
인간 존엄성  ,정언명법  ,내적인 자유  ,이성적 존재자  ,생명윤리  ,통섭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7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2013  1121
3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2013  1127
3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조명 / 김평관 2005  1154
34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2
33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9
3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34
3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6
30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30
2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기본 원칙: 로봇 존재론으로부터 / 고인석 2014  1362
28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6
27 9 보건의료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전효숙 2002  1377
26 17 신경과학 뉴로마케팅(Neuromarketing)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추병완 2014  1454
25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3
24 1 윤리학 사회 철학적 관점에서 본 순자 성악설 : 사회적 생명·윤리문제 측면에서 / 허영주 2016  1507
23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3
2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58
2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48
20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47
18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