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AS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63137 

응급 간이식의 준비
= Preparation for Emergency Liver Transplantation

  
 
제어번호 101963137
저자명 박지연 ( Ji Yeon Park )
학술지명 KASL(KASL)
권호사항 Vol.2016 No.1 [2016] 
발행처 대한간학회(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39-339(1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저하와 함께 혈액 응고 및 의식 변화가 나타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감염이나 급성 간손상과같은 선행 인자에 의해 급성 악화 소견을 보이는 환자군을 acute-on-chronic liver failure (ACLF)로 정의한다. 급성 간부전으로 진행되는 경우 문진을 통해 간부전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임상 증상에 따라 중환자실에서의집중관리가 필요하며 동시에 응급 간이식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급성 간부전은 사망률이 매우 높아 응급 간이식이 수일내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뇌부종, 전신감염의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매우 높으며, 이식 전 환자의 상태는 이식 후 환자생존율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응급간이식이 필요한 경우, 적절한 생체 공여자가 없다면 응급도의 기준에 따라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를 통해 응급도의 기준에 따라 뇌사자 간이식 대기자 명단에 등록하고 응급등급1인 경우 우선적 배분을받게 된다. 그러나 뇌사 공여자가 부족한 국내 현실상 생체이식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신속하게 기증자의 의학적인 검사를 진행하고 정신건강의학과와 사회사업팀의 면담을 통하여 기증자로서 적합한 경우에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의 응급 생체간이식에 대한 승인을 받고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코디네이터는 환자 및 가족에게 수혜자의 검사 및 진행절차, 간이식 비용, 수술방법, 간이식 후 합병증, 간이식 후 관리, 재원기간, 수술 생존율등의 전반적인 사항과 기증자의 검사종류 및 행정적 승인절차, 입원기간, 회복기간, 간 기증 후 관리 및 주의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응급으로 진행하는 간이식의 불안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간이식과 관련되는여러 부서와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여 성공적으로 이식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28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6
362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3626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3625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3624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인체조직 유통 및 기증의 현황과 세법측면에서의 개선점 :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 최경아 2012  106
3623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3622 20 죽음과 죽어감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김형지 외 2018  106
3621 1 윤리학 윤리교육에서 윤리상담의 적용을 위한 방향 탐색 - 윤리교사들의 윤리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 장승희 2017  106
3620 5 과학 기술 사회 안전성 증진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 과정과 인간공학 가이드라인 연구 / 채승진 외 2017  106
3619 15 유전학 대규모 유전체연구에서의 프라이버시 이슈 / 조은희 2018  106
3618 15 유전학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 연구 / 최진일 2019  106
3617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6
3616 15 유전학 "과학의 승리"는 어떻게 선언될 수 있는가? 친자 확인을 위한 혈액형 검사가 법원으로 들어갔던 과정 / 김효민 2019  106
3615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3614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2004  107
3613 9 보건의료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에 대한 논평: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의 범주와 문제점/박형욱 2015  107
3612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
361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차동필 2010  107
361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 WiseQA를 위한 정답유형 / 허정 2015  107
3609 1 윤리학 "잊혀질 권리"에 관한 유럽사법 재판소(ECJ) 판결의 유럽 법제상 의미와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 최경진 2014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