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장애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90699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A Suggestion of Reproductive Rights from th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제어번호 101890699
저자명 나영정
학술지명 한국장애학
권호사항 Vol.1 No.1 [2016] 
발행처 한국장애학회 
발행처URL http://disabilitystudies.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65-98(34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KDC 330


초록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재생산권리가 법, 정책, 의료, 문화적 차원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에 관심을 가지면서, 특히 그동안 재생산권리의 주체로 여겨지지 못했던 장애여성의 경험을 통해 재생산권리의 정치적 의미와 사회적 맥락을 보고자 하였다. 한국사회에서는 그동안 국가 주도의 인구정책이 강하게 추진되어오면서 여성의 몸이 도구화되고, 경제성장과 국가발전을 위한 모자보건정책이 시행됨으로써 손상과 장애를 가진 이들의 생명이 국가로부터 경시되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강화되는 의료화와 유전자 기술의 발달 및 상품화는 ‘질 좋은 인구’에 대한 욕망을 개인화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가로부터, 가족으로부터 재생산권리를 부정당하고 장애로 인한 차별을 경험하는 가운데서도 임신과 출산을 고민하고 실행하는 장애여성들의 경험과 관점은 재생산권리를 둘러싼 복잡한 권력과 맥락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페미니즘과 장애 정치의 교차를 통해서 재생산권리에 개입되는 젠더, 섹슈얼리티, 건강, 장애, 정상성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국가의 이해가 아니라 인권으로서 재생산권리를 다시 제기하기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어야 한다.

 


 목차
1. 서론: 한국사회의 재생산권리와 장애여성의 삶
2. 연구 방법 및 선행 연구 검토
2.1 연구 방법과 과정
2.2 선행 연구 검토
3. 국가의 필요에서 여성의 요청으로
4. 취약한 존재이자 위협적인 존재: 장애여성
4.1 생리 안하는 수술을 거부하는 것도 성적 권리
4.2 애기보를 엎어서 와라
4.3 단호하게 제가 키우기로 결심했어요.
4.4 의료기술과 권력: 산전검사를 겪는 장애여성
4.5 소결
5. 결론: 페미니즘과 장애 정치의 결합을 통해서 해나갈 수 있는 것


주제어
재생산권  ,장애여성  ,페미니즘  ,모자보건법  ,인구정책  ,산전검사  ,Reproductive Rights  ,Women with Disabilities  ,Feminism  ,Mother and Child Health Act  ,Popluation Policy  ,Prenatal Screening Tes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9
25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5
24 10 성/젠더 성인여성의 모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전환 단계에 대한 연구 / 최은아 2015  371
23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6
22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4
21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6
20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19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1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문제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적 이해 / 이승리 1997  404
17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75
1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15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14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6
13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12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11 14 재생산 기술 [논문]재생산권으로서의 낙태에 관한 법여성학적 고찰 / 이선순 2006  403
10 10 성/젠더 난자 :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 조주현 2007  314
9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2010  334
8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3
7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