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5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철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14281 

Hegel 『법철학』에서 복지와 선



기타서명 Welfare and Good on Hegel's Philosophy of Right
저자 박종성
형태사항 i, 52 p. ; 26cm
일반주기  명지대학교
               지도교수:강순전
               참고문헌 : p. 49-50
               서지적 및 설명적 각주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철학과 2016. 2
DDC 100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명지대학교 도서관(서울) 소장기관정보


 

초록
본 연구는 Hegel『법철학』에서 복지와 선의 관계에 관해 탐구한다. 복지는 욕구의 충족이거니와, 욕구는 근대 실천철학과 고대의 실천철학에서 다르게 규정된다. 근대적 개체성을 강조하는 Hobbes가 욕구를 인간 행동의 기본적인 원리라고 주장한 이래, 이를 계승한 Bentham 같은 공리주의자들은 욕구를 공동체의 차원에서 최대화하는 것이 선이라고 주하면서, 욕구의 지평을 확장한다. 다시 말해 이들은 고대적인 형이상학적 선을 부정하고 개별적 주체들의 욕구를 선으로 간주한다. 다른 한편 보편성의 입장에서 욕구를 파악하는 Kant는 여타의 실천철학자와는 다르게 욕구를 보편적 선으로 여기지 않는다. Kant에게 있어서 욕구는 특정한 개인에게만 타당한 것이며, 인간은 도덕적으로 선하며 보편적으로 타당한 법칙을 스스로 도출할 수 있는 자유로운 존재이기 때문이다. Hegel은 공리주의자들이나 Kant와 다르게 욕구개념을 규정한다. 그는 자연적 내용으로서의 욕구의 충족을 복지라고 규정한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복지의 내용을 사유를 통해서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복지의 내용은 행복이라는 보편적이고 이성적인 체계의 계기로서 존재하는 것이므로, 복지는 적극적·긍정적 의의를 가진다. 더 나아가 Hegel은 복지가 보편적인 선을 의욕하는 양심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욕구에 관한 이런 관점을 통해 Hegel은 Kant적인 도덕적 형식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으나, 선한 것을 욕구하는 양심은 아직 주관적일 뿐 객관적으로 타당하지는 않다. 양심의 단계에서는 선한 것을 욕구하는 기준이 자의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요, 양심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인륜성이라는 객관적인 기준이 요구된다.

 
목차
1. 서 론
2. 근대 실천철학에서의 욕구개념
(1) 공리주의에서의 욕구개념
(2) Kant의 욕구개념
3. Hegel의 복지개념과 이론적 근거
(1) 복지의 근거로서의 자유
(2) 복지의 도출 과정
(3) 이성적 체계 안에서의 복지
4. 선의 계기로서의 복지와 한계
(1) Kant적 한계의 극복으로서의 복지
(2) 복지의 한계
(3) 복지에서 양심으로의 이행과 양심의 한계
5. 결 론


주제어
Hegel, 윤리학, 욕구, 복지, 자유, 선, 양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 1 윤리학 Hegel 『법철학』에서 복지와 선 / 박종성 2016  170
24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1
23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원칙들』 개정 역사에 대한 하나의 관점 / 목광수 2015  217
22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와 결의론에 관한 연구 / 이일학 2010  221
21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49
20 2 생명윤리 인간 향상 논쟁에서 생명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추병완 2015  253
19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4
18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1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5
16 2 생명윤리 영미권의 생명의료윤리학, 어떻게 볼 것인가? : 응용윤리학적 접근법을 비판하며 / 정준영 2008  320
15 1 윤리학 생명윤리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소고 : 본회퍼의 『윤리학(Ethik)』을 중심으로 / 전은강 2016  323
14 2 생명윤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 최경석 2014  330
13 1 윤리학 본회퍼 『윤리학』 에서 자연적 생명의 권리에 대한 연구 / 김영수 2015  335
1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6
11 20 죽음과 죽어감 몸의 생의학적 의미와 생명정치 / 이을상 2010  408
10 1 윤리학 중용(mesot?s)의 양적 또는 비(非)양적 해석 문제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절제’, ‘용기’, ‘온화’를 중심으로 / 이정주 2016  434
9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6
8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8
7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2014  510
6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이론적 기초 연구 / 변순용, 송선영, 김현수 2012  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