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3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40141 

덕윤리 중심의 중학교 도덕교육제안



기타서명 Study of the middle school’s moral education on virtues ethics
저자 김승현
형태사항 72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한국외대
              지도교수: 박희영
              참고문헌 : p. 69-70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전공 2015. 8
DDC 170.7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소장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초록
Study of the Middle school’s Moral education on Virtues Ethics

 In the modern society of liberalism and rationalism, the human being is perceived an independent existence based on individuality and autonomy. Thus Ethical and moral education has mainly concerned how the autonomous human beings do when facing the ethical issue or their individual affairs and what is right. However, although taking all efforts, we still have many concerns with moral issues.
 What is the problem in the educating morals? Why can’t the current moral education prevent many of the immoral behaviors of students? I have tried to find way to overcome the problems in studying ethics of virtues. Because I think it has the key. So I reviewed McIntyre's Virtue Ethics who is the most famous in Virtue Ethics now days. His virtue ethics includes three stages-practice, narratives and tradition.
 First, he has regarded a social practice as a consistent and complicated activity, which is established by social members, so if the individuals do that, they complete inherent goodness. The narrative unity of a human life makes us comprehend the unity of virtue and goodness in itself.
 So he can do practice morally in context of the community and history he belongs to because a narrative self has both social and historical identities for the tradition. The social practice must be figured in the connection with the tradition. But the tradition is not fixed but changeable because it always require us to reflect on the social practice.
 In other words, it has been changing and developing through time. This era demands a practice, not a judgment. The practice must become a good practice, too. Thus McIntyre's virtue ethics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moral education.
 On this discussion, I suggested a few improvements for moral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course, it is necessary to reduce and imply contents. Too much lesson makes the students feel bored and be tired of moral class. And Moral education must establish their identity properly. Only when it has come to have identity, it can accomplish its role as moral subject. Finally, We should invent new-style methods of teaching. I think the class should consist of theoretical classes and exercise classes. If the students experience the gladness of practicing virtues, it can remind them of the value of morality and he will be able to make it his own.
 Moral education is to grow a human mind. In this point, we can find easily that the argument over McIntyre's Virtue Ethics give important suggestions to today's moral education, and has useful methods to overcome the problems with moral education.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도덕교육의 양상과 문제점 8
2.1 현행 도덕교육과 그 한계점 10
2.2 목적론적 윤리학의 필요 13
2.3 공동체적 윤리의 필요성 16
2.3.1 개인중심화로 인한 연대의식의 약화 18
2.3.2 자유주의 교육의 문제점 19
2.4 교수방법 및 교수내용의 한계 21
2.4.1 교육내용의 문제점 22
2.4.2 피교육자의 학습능력 23
2.5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도덕교육 25
2.6 2009년 개정 도덕교육과정의 문제점 26

제 3 장 덕윤리에 대한 이해와 매킨타이어의 덕윤리 29
3.1 덕윤리 29
3.1.1 덕윤리의 재조명 30
3.1.2 목적론적 윤리 32
3.1.3 목적론적 윤리로서의 덕윤리 33
3.2 덕윤리의 특성과 구조 34
3.2.1 실천과 덕 38
3.2.2 통일성과 덕 39
3.2.3 전통과 덕 40

제 4 장 덕윤리와 도덕교육 42
4.1 덕윤리를 구현할 교육목표의 수립 44
4.2 전통을 탐구하고 익히는 도덕교육 46
4.3 반성적 사고와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도덕교육 49
4.4 체득적 덕 교육 50

제 5 장 도덕교육에서의 덕윤리 실천방법 53
5.1 도덕교육에서의 덕윤리 53
5.1.1 도덕교과의 정체성 재정립 53
5.1.2 도덕교과서의 수정 56
5.1.3 교과 수업의 구성 57
5.1.4 학습내용 성취도 평가의 개선 59
5.2 교과수업모형 60
5.3 도덕교과 수업의 실제 61

제 6 장 결 론 66


주제어
덕윤리, 도덕교육, 중학교 도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3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33
12 2 생명윤리 문학교육을 통한 도덕적 상상력 신장 방안 연구 : 생명윤리를 중심으로 / 이은민 2014  394
11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 한 학교복합시설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9  379
10 2 생명윤리 기독교대안학교 운영체계안 제시 : 생명공동체윤리사상에 입각한 교육을 중심으로 / 류미아 2015  360
9 9 보건의료 신설 의학교육기관 평가인증 기준 및 규정 개발 연구 / 김영창 2019  325
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8
7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 1 윤리학 덕윤리 중심의 중학교 도덕교육제안 / 김승현 2015  243
5 1 윤리학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초등과학교과 생명윤리 관련 통합단원 개발 / 박세철 2014  214
4 2 생명윤리 교수개발로서의 생명의료윤리 교육 : 신임교원 대상 교육개발과 시행 경험을 바탕으로 / 김정아, 오승민, 김평만 2014  163
3 1 윤리학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 이현승 2016  134
2 4 보건의료 철학 의학교육에서의 의료윤리 교육방법 / 김옥주 2016  111
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 김민수 2019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