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15482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Foundation of New Ethics in Technology Age


 
제어번호 60115482
저자명 이재성(Yi Sae-Seong) 
학술지명 哲學論叢(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권호사항 Vol.66 No.- [2011] 
발행처 새한철학회(영남철학회@@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발행처URL http://www.saehanphilosophy.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9-338(2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1년
KDC 105
등재정보 KCI등재
소장기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근대를 살찌운 '아름다운' 공식, 즉 과학이 더 발전하면 더 나은 기술로 이어지고 그 기술은 다시 모든 인류에게 더 풍요롭고 더 나은 세상을 도래하게 한다는 이 아름다운 공식의 거대한 서사가 이제 종말을 고하고 있다는 사실이 더욱 확실해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우리의 미래세대에게 말해 줄 만한 제대로 된 그 어떤 이야기도 준비하지 못한 채 여전히 저 근대의 공식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새로운 이야기, 즉 '새로운 윤리학의 근거지음'이 절박한 이유다. 만일 우리가 새로운 윤리학의 근거짓기를 시작해야 한다면 그것은 아마도 어떻게 근대의 인간이 마침내 자신의 파괴적인 습성을 인정하고, 자신의 후회를 최소화할 방법을 찾아 낼 수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그 지점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근대의 절정인 인간중심주의적 세계관을 극복하고 인간의 "삶의 형식"을 새롭게 주조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학을 근거지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에서 인간이 처한 이 절박한 삶의 형식의 위기상황에서 근대가 낳은 인간중심주의가 갖는 한계가 무엇인지를 짚어내면서 새로운 윤리학을 근거짓기 위한 방법적 절차를 탐색하고자 한다. 그것은 우선 인간의 삶의 형식을 새롭게 구성하는 새로운 윤리학의 단초를 제안하는 일이다(2). 그런 후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의 협소함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학을 제안할 것이다. 이 새로운 윤리학은 인간중심주의를 관점 찾기의 과정과 연관해서 비판하면서 인간중심의 세계관의 주요 관심을 협소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게 될 것이다(3). 이러한 논증 과정에서 필자는 지금까지의 윤리학이 취해 온 인간중심주의 관점을 포기하고 더 나은 관점, 즉 새로운 윤리학의 구조인 책임의 반인간중심주의적 성격을 고찰하면서(4), 이 글을 마무리할 것이다(5).

 

목차
1. 과학기술시대에 새로운 윤리학의 근거짓기가 필요하다
2. 인간중심주의의 한계와 새로운 윤리학의 단초
3. 인간중심주의 세계관의 협소화와 그 결과
4. 새로운 윤리학 : 반인간중심주의의 근거로서의 책임
5. 나가는 말


주제어
윤리학  ,정치철학  ,환경철학  ,생태윤리  ,윤리학  ,과학  ,기술  ,근거지음  ,인간중심주의  ,자연중심주의  ,책임  ,ethics  ,political philosophy  ,environmental philosophy  ,eco-ethics  ,science  ,technology  ,foundation  ,anthropocentrism  ,nature-centrism  ,responsibil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2248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의 재산권성에 관한 의료법학적 연구 / 이웅희 2009  201
2247 1 윤리학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 김병수 2011  201
2246 10 성/젠더 동성애에 대한 생리의학적 연구동향 분석과 기독교 교육적 고찰 / 임준섭 2019  200
2245 1 윤리학 인공 지능 시대의 정보 윤리학: 플로리디의 ‘새로운’ 윤리학 / 목광수 2017  200
224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 임상윤리자문팀 / 허대석 2017  200
2243 9 보건의료 신약 접근성 개선 정책이 등재율 및 등재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김은숙 2017  200
2242 9 보건의료 의료관련 일본어 용어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김정수 2016  200
2241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활성화 방안 연구 / 주지은 2016  200
2240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2239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2008  200
»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0
2237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상태와 사전의료지시에 관한 연구 / 편혜준 2012  200
2236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소고 / 박한희 2018  199
2235 13 인구 초기 미국 영화로 보는 우생학과 산아제한운동 / 김효정 2018  199
223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 신자현 2013  199
2233 19 장기 조직 이식 시신기증 영향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주주 2011  199
2232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
2231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보건의료정책 평가 / 백은혜 2017  199
223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지적교육 방향 / 김영학 2016  199
2229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