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 생명의료정보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60695 

전유전체 서열 기반 한국인 참조 변이체 분석 연구
 = Variation analysis study in 62 Korean whole genomes



 
저자 박선혜
형태사항 v, 69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고인송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62-6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 생명의료정보학과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최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과 생물정보학의 발전으로 유전체데이터생산 및 분석비용이 하락함에 따라, 국제적으로 다양한 인종에 대한 인간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들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국제적인 프로젝트에는 한국인의 유전체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한국인의 특이적인 유전적 정보를 이해하기 위한 정보가 상당히 부족하다. 각국 내에서도 지속적인 유전체 분석비용의 하락으로 전유전체(whole genome)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인 게놈 프로젝트(Korean Personal Genome Project; KPGP)는 한국의 게놈연구재단(Personal Genomics Institute; PGI)에서 진행하고 있는 참여형 연구프로젝트로, 62명의 한국인 전유전체서열데이터가 TGI(The Genomics Institute)의 FTP 사이트와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rean Bioinformation Center; KOBIC)의 FTP 사이트를 통해 공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62명의 한국인 KPGP 전유전체서열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단일염기변이(SNV), 삽입과 결실(INDEL), 구조적 결실(large deletion), 복제수변이(CNV)와 같은 다양한 유전변이를 확인하고, 한국인의 유전체정보를 이해하기 위한 파일럿 연구를 수행하여 참조변이체(reference variome)의 정보를 구축하였다.
한국인 62명의 전유전체에서 서열단위 변이의 분석 결과, 단일염기변이(SNV) 10,208,160개와 삽입과 결실(INDEL)(≤ 200bp)은 1,056,125개가 발견되었다. 이 중 한국인 특이적인 단열염기변이(SNV)는 1,540,469개로 나타났다. 또 단백질 코딩에 영향을 주는 non-synonymous SNV는 37,973개가 발견되었다. 구조적 단위 변이의 결과, 구조적 결실(large deletion)(> 200bp)는 4,112개 발견되었고, 복제수변이(CNV)는 1,946개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인종단위의 한국인 전유전체서열분석(WGS)에 대한 파일럿 연구로서, 추후 대량의 샘플데이터를 활용한 참조변이체(reference variome) 정보의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한국인 파일럿 참조변이체 정보로서 향후 한국인과 관련된 질병 연구에 도움을 줄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제2절 최신 연구동향
제3절 연구의 목적

제2장 재료 및 방법
제1절 재료
제2절 방법

제3장 결과
제1절 한국인 62명의 전유전체서열데이터 분석
제2절 한국인과 다른 아시안 인종의 서열단위 변이비교
제3절 구조적 변이
제4절 Gene set enrichment 분석

제4장 고찰

제5장 참고문헌



주제어
의용생체공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068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3
206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가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주연 2016  183
206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문재활치료 건강보험수가 현황 분석 : ICF 모델을 중심으로 / 차유진 외 2017  183
2065 9 보건의료 감염환자 검사자의 안전권,건강권,의료환경권 / 박상웅 2017  182
2064 17 신경과학 소방관 트라우마 치료지원 현황과 발전방안 / 이강우 2014  182
2063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82
206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이용과 한계 ― 대만판례 TAHR vs NHIA (2012) 분석을 중심으로 / 김은수 2017  182
206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행위 동의권자의 결정 ; 성년후견제 시행에 대비하여 / 현소혜 2012  182
2060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2059 20 죽음과 죽어감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이현정 2013  182
2058 12 낙태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 / 이송주 2019  181
2057 1 윤리학 한국 의료의 국제화와 윤리적 문제 / 임주원 외 2017  181
2056 9 보건의료 노인의 임상시험 참여에 대한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 : 임상시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 김선욱 외 2014  181
2055 15 유전학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유전적 배경 / 우명수 2006  181
2054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
205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제공 전 뇌사자의 관리 / 정종환 외 2014  181
205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윤리지침의 유용성, 한계, 구속성 / 유호종 2003  181
205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1
2050 1 윤리학 첨단 생명의료과학에 근거한, 시체(屍體)의 민법상 지위 고찰 / 유지홍 2014  181
2049 9 보건의료 산업화된 의료, 상품화된 건강과 마르크스주의 / 이상윤 2018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