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7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영산대학교 법무경영대학원 : 법무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22230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A study on the starting of a human being and the allowable scope in abortion



 
저자 김정오
형태사항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류화진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영산대학교 법무경영대학원 : 법무전공 2016. 2
발행국 경상남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영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우리나라는 세계가 놀랄 정도의 최단기간에 최빈국에서 가난을 물리치고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을 이룬 뛰어난 민족이다. 그러나 국가 주도의 관치 경제 성장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의 강압 성으로 인하여 적지 않은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게 하였다, 그 대표적인 것이 경제 성장의 저해 요인을 폭발적 인구 팽창으로 본 정부가 인구 조절 정책으로 채택한 산아 제한은 임신 중절을 합법화한 모자 보건법의 시행으로 황금만능주의와 생명경시 풍조가 만연되게 하였다. 이는 모자 보건법에 낙태의 조각 사유를 둠으로써 국가가 낙태를 하도록 유도하고 제도적으로 조장 하였으며 형법에 낙태죄에 대한 엄한 처벌 조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문화 되다시피 되었고 사법부의 미온적인 태도는 불법적인 낙태가 더욱 성행하게 하였다. 오늘날 생명경시로 인한 반인간적 범죄의 범람과 저 출산, 초 고령 국가라는 국가적 문제의 그 시원은 근시안적 정책으로 낙태를 합법화 한 국가에 근원적 책임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국가의 책임을 논한다고 하여 현실적 문제가 해결 되는 것은 아니다. 낙태에 있어 임부의 자기 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의 충돌에 있어 문헌의 고찰과 우리 민족에게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생명에 대한 의식과 헌법 재판소의 판시와 대법원의 판결로 볼 때 생명권이 우위의 기본권임이 명확한 것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법적 소란이나 논쟁은 없어야 할 것이다. 사람의 시기는 낙태의 허용 범위와 맞물려 있는 것으로 태아의 생명권이 우위의 기본권이라 하지만 자기 결정권 역시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중요한 권리이자 보호 법익이기 때문에 중도적 제안으로 배아의 시기인 임신 8주까지의 초기 낙태는 전면 자유화 하여 태아와 임산부의 기본권에 대한 법익의 균형을 이루고 따라서 사람의 시기는 임신 8주 이후부터라고 명문화 하여 형법이 규율하고 있는 낙태죄에 대한 명확성을 확립하는 것이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에 부합되므로 낙태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낙태에 있어 작금의 현실은 자신들의 주장만 앞세우며 법과 당면한 현실과의 괴리만을 탓하고 선명한 해결책은 제시 하지 못하면서 사람의 시기는 착상 시부터 이다와 낙태는 살인 행위이기 때문에 절대로 허용 불가라는 주장과 내 몸은 내 마음대로 라는 자기 결정권의 합의점 없는 대립으로서는 이 문제의 해결점은 처음부터 원점으로 돌아가 사회적 대통합은 요원 한 것이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낙태에 대한 일반적 고찰
제3장 모자 보건법의 문제점과 형법의 낙태죄와 사람의 시기
제4장 낙태의 허용 범위에 있어 사람의 시기에 대한 형사법적 제안
제5장 결 론


주제어
생명권, 자기 결정권, 근시안적 정책, 낙태의 조각사유, 배아의 시기, 초기 낙태 전면 허용, 사람의 시기, 죄형법정주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5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5
56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55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5
54 13 인구 정책보고서의 인지지도 분석: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의 사례/김동환 2017  109
53 20 죽음과 죽어감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김병규 2017  110
52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51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8
50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2016  134
49 5 과학 기술 사회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최해옥 2017  139
48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정책수단 평가 및 해결방안 연구 / 김정기 외 2017  143
47 1 윤리학 건강인 대상 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의 사회적·윤리적 쟁점 (2015 수정논문) / 김수정 2013  144
46 18 인체실험 국내 줄기세포 정책연결망 분석 : 1997~2005 / 손향구 2009  145
45 12 낙태 피임과 낙태 정책에서의 재생산건강권 보장 방안 / 김동식 2014  146
44 18 인체실험 참여정부의 발전국가적 BT 육성 정책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연구팀 지원 정책의 실패를 중심으로 / 황소영 2006  161
43 9 보건의료 건강보험수가 결정 체계 분석과 개선 방안 : 전문가의견 조사를 중심으로 / 정숙경 2011  185
42 13 인구 일본의 출산정책의 변화와 젠더적 함의 / 이지영 2019  196
41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우해봉 2018  196
40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에서의 조직은행 구조에 관한 연구 / 최승주 2000  212
39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5
38 12 낙태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노종호 2014  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