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5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누리와 말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22815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The Status & Attitude of Family, and the Pastoral Implication : Explaining in Statistics


 
제어번호 101822815
저자명 조세희(Jo Se hee)
학술지명 누리와 말씀(World and word)
권호사항 Vol.- No.38 [2015] 
발행처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6(50쪽)
발행년도 2015년
KDC 205
소장기관 인천가톨릭대학 도서관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본 연구는 ‘가족’과 관련된 통계지표 및 사회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 가톨릭교회의 가정사목적 효과 및 향후 사목의 방향을 성찰하는데 간접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주로 활용될 경험 자료는 한국의 전반적인 가족실태를 직·간접적으로 보여주는 통계청의 인구·사회학적 지표와 결혼관, 출산 및 자녀관, 생명, 성(性)에 대한 태도 및 역할의 변화, 결혼생활의 만족도 등 가족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를 설문한 2003년, 2008년, 2012년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이다. 두 종류의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먼저 한국은 심각한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지속적인 출산율 저하와 생산가능인구 비중의 급감, 노인 비중의 폭발적 증가로 인하여 젊은 세대의 부양비에 대한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설상가상으로 부의 양극화, 청년실업 증가, 불안한 고용시장 등 경제적 불안요소들이 안정적인 가족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있어 젊은 세대들을 더욱 위협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가족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측정한 사회조사에서 가족에 대한 설문문항을 5개 범주 -결혼관, 가족부양, 생명, 성(性)에 대한 태도, 결혼 만족도- 로 나누어 종교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톨릭 신자들의 가족공동체에 대한 연대의식과 중요성 인식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자살관련 유경험자가 상대적으로 높고, 가족생활 만족도 및 행복도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가톨릭교회가 가족에 대한 중요성을 회복시키고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사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서론
1. 자료 및 분석방법
2. 인구·사회 통계로 본 가족문제
3. 가족가치(Family value)에 대한 종교별 인식 및 태도 분석 결론


주제어
저출산  ,고령화  ,혼인  ,이혼  ,가족부양  ,낙태  ,자살  ,성(性)태도  ,가정생활 행복/만족도  ,family disorganization  ,low birth rate  ,aging society  ,marriage  ,divorce  ,family responsibility  ,abortion  ,suicide  ,homosexuality  ,family life satisfac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5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6
34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33 19 장기 조직 이식 모자간의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현상이 이식신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09  137
32 1 윤리학 임의후견에서 본인의 자기결정권과 법원의 감독 / 김수정 2017  147
31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30 20 죽음과 죽어감 가족 구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의료 말기암환자의 특성/박상미 외 2018  180
29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7
2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3
2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4
26 1 윤리학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이미경 2018  260
25 13 인구 유럽의 인구동향 및 저출산 대응 가족정책과 한국 인구정책의 과제 / 전광희 2018  266
»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4
2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 결정 태도와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DNR을 중심으로 / 장지영 2010  345
22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자녀 동반자살'을 통해 살펴 본 동아시아 지역의 가족 관념 : 한국, 중국, 일본 사회에 대한 비교문화적 접근 / 이현정 2012  371
21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2014  419
2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28
19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2014  433
18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1
17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 가족 연구 동향 분석 : 1994년부터 2013년 상반기까지 / 차유림 2014  468
1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