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누리와 말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22815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The Status & Attitude of Family, and the Pastoral Implication : Explaining in Statistics


 
제어번호 101822815
저자명 조세희(Jo Se hee)
학술지명 누리와 말씀(World and word)
권호사항 Vol.- No.38 [2015] 
발행처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56(50쪽)
발행년도 2015년
KDC 205
소장기관 인천가톨릭대학 도서관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본 연구는 ‘가족’과 관련된 통계지표 및 사회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 가톨릭교회의 가정사목적 효과 및 향후 사목의 방향을 성찰하는데 간접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주로 활용될 경험 자료는 한국의 전반적인 가족실태를 직·간접적으로 보여주는 통계청의 인구·사회학적 지표와 결혼관, 출산 및 자녀관, 생명, 성(性)에 대한 태도 및 역할의 변화, 결혼생활의 만족도 등 가족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를 설문한 2003년, 2008년, 2012년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자료이다. 두 종류의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먼저 한국은 심각한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처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지속적인 출산율 저하와 생산가능인구 비중의 급감, 노인 비중의 폭발적 증가로 인하여 젊은 세대의 부양비에 대한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설상가상으로 부의 양극화, 청년실업 증가, 불안한 고용시장 등 경제적 불안요소들이 안정적인 가족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있어 젊은 세대들을 더욱 위협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가족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측정한 사회조사에서 가족에 대한 설문문항을 5개 범주 -결혼관, 가족부양, 생명, 성(性)에 대한 태도, 결혼 만족도- 로 나누어 종교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톨릭 신자들의 가족공동체에 대한 연대의식과 중요성 인식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자살관련 유경험자가 상대적으로 높고, 가족생활 만족도 및 행복도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가톨릭교회가 가족에 대한 중요성을 회복시키고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사목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서론
1. 자료 및 분석방법
2. 인구·사회 통계로 본 가족문제
3. 가족가치(Family value)에 대한 종교별 인식 및 태도 분석 결론


주제어
저출산  ,고령화  ,혼인  ,이혼  ,가족부양  ,낙태  ,자살  ,성(性)태도  ,가정생활 행복/만족도  ,family disorganization  ,low birth rate  ,aging society  ,marriage  ,divorce  ,family responsibility  ,abortion  ,suicide  ,homosexuality  ,family life satisfac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6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2011  2825
35 2 생명윤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한 것들과 인간 존엄 및 인간 생명 존중 / 최경석 2014  1553
3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6
33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43
32 20 죽음과 죽어감 병원윤리위원회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 박인경, 박지용, 손명세, 이일학 2011  609
3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허용요건과 법제화의 방향 / 주호노 2013  601
30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29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8
28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지식 및 노인환자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역할 이해도 / 한수연 2015  564
27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존엄사법과 영국의 조력자살법안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5  562
26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62
2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결정한 말기환자 가족의 경험 / 박연옥 2003  551
2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돌봄 / 엄영란 2014  531
23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31
22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2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6
20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연구 : 입법적 실천 방안을 위한 미국과의 비교법적 모색 / 엄주희 2013  481
19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9
1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제언 / 김현주, 허정식 2013  445
17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