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9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 원종욱

1 윤리학 조회 수 249 추천 수 0 2016.09.23 13:26:2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54187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Duty of Protection


 
제어번호 101754187
저자명 원종욱(Won, Jong-Wook)
학술지명 法學論叢(Soong Sil Law Review)
권호사항 Vol.35 No.- [2016] 
발행처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Soong Sil University)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7-181(25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보호의무(안전배려의무)는 계약당사자의 일방이 상대방의 생명 · 신체 · 소유권 및 기타 재산적 이익을 침해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할 주의의무를 말한다. 이러한 보호의무를 채무의 하나로 인정할 것인가는 피해자 보호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 즉 보호의무를 채무로 보아 그 위반을 채무불이행책임으로 구성하면, 불법행위책임으로 구성할 경우보다 입증책임과 소멸시효기간에서 보다 유리하게 된다. 현재의 다수설은 보호의무를 채무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판례도 1994년 숙박업자의 투숙객 보호의무 위반을 인정하고 계약책임으로 구성한 이래, 채무불이행책임으로 보는 것이 지배적인 경향이다.
독일은 독일민법전 제618조에 안전배려의무를 명문화하고 이를 위반 시에는 채무불이행책임으로 묻고 있다. 프랑스는 1911년 파기원의 판례를 통해 운송계약에서 안전배려의무를 인정한 이래 의료계약 등으로 확대 적용하고 있고, 일본은 1975년 최고재판소가 안전배려의무를 인정한 이후 채무불이행책임으로 구성하는 것이 주류적인 경향이고, 도급계약과 공무원의 고용관계에도 적용하고 있다.
한편, 우리는 법무부가 2004년도와 2011년도에 민법의 고용계약 규정에 “사용자의 안전배려의무”를 신설하는 개정시안을 마련하였지만 입법화되지는 못했다. 이와 같이 외국과 우리는 피해자를 보다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 보호의무를 명문화 하였거나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에 보호의무에 대한 외국의 입법례와 우리의 현황을 다시 한번 살펴보고 보호의무의 입법화 필요성을 논구하자고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보호의무에 관한 입법례
Ⅲ. 보호의무의 내용과 효과
Ⅳ. 결어



주제어
보호의무  ,안전배려의무  ,신의칙  ,불법행위책임  ,채무불이행책임  ,duty of protection  ,duty of safety consideration  ,illegal act responsibility  ,non-performance of liabil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9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48 9 보건의료 고령친화 의료기기의 안전관리방안 연구 / 임경민, 송동진 2018  68
47 1 윤리학 건강인 대상 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의 사회적·윤리적 쟁점 (2015 수정논문) / 김수정 2013  144
4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
45 9 보건의료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정오 외 2015  171
44 15 유전학 유전자치료법의 국가표준지침 제정에 관한 연구 / 남명진 1998  182
43 9 보건의료 감염환자 검사자의 안전권,건강권,의료환경권 / 박상웅 2017  182
4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이상반응의 IRB 보고 체계와 심의 절차 및 방법에 관한 연구 / 이도윤 2012  205
41 15 유전학 장애 이해의 해석학적 구조화와 법/김나경 2015  209
40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과 임상윤리에 관한 고찰 / 박재훈 2015  220
3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38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 1 윤리학 보호의무에 관한 소고 / 원종욱 2016  249
36 14 재생산 기술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장복희 2015  252
35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34 1 윤리학 회고적 시각에서 본 생명윤리 관련 법규 변천 / 이인영 2013  254
33 22 동물복지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황수진 2015  256
32 15 유전학 유전정보 기증으로 발생 가능한 피해의 유형과 확률 / 유호종, 이일학, 최성경, 정창록, 이승희, 김소윤 2014  262
31 22 동물복지 도축되는 한우 혈액에서 회수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 김민수 외 2012  273
30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