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1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웰니스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89256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Attitudes toward Life Sustaining Treatment(LST) of Health Professionals and General Public : A Co-orientational Look


 
제어번호 101989256
저자명 윤은자(Yeun, Eun-Ja)  ,홍연표(Hong, Yeon-pyo)  ,안정화(An, Jeong-Hwa)
학술지명 한국웰니스학회지
권호사항 Vol.11 No.2 [2016] 
발행처 한국웰니스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4(14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해 연명치료에 대한 의료인과 일반인의 태도의 주관적 구조를 확인하고 상호지향성(Co-orientation) 시각으로 접근하여 분석함으로써 상호간 이해의 폭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의료인 29명과 일반인 25명을 P표본으로 하여 33개의 Q-표본을 자신의 입장과 상대방의 입장에서 각각 7점 척도상에 강제분포 하도록 하였다. 의료인은 3개 유형(연명치료 반대형, 사전의사결정 중시형, 객관적 판단중시형), 의료인이 지각한 일반인의 태도 또한 3개 유형(무의미한 연명치료 거부형, 합리적 상황판단형, 주체적 존엄성 강조형)이 발견되었다. 일반인은 3개 유형(삶의 애착형, 연명치료 거부형, 종교적 신념형), 일반인이 지각한 의료인의 태도 3개 유형(생명 중시형, 연명치료 반대형, 사전의사결정 중시형)이 발견되었다. 이를 상호지향성 시각에서 분석한 결과 의료인은 일반인의 ‘삶의 애착형’과 ‘종교적 신념형’을 이해하지 못하였다. 일반인은 의료인의 ‘객관적 판단 중시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으며 실제 의료인에게 발견되지 않은 ‘생명중시형’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공통적인 의견은 ‘본인의 사전의사결정에 따라 연명치료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좁히기 위해서 의료인은 임상현장에서 일반인의 생명에 대한 애착과 종교적 신념 등을 고려해야 하며, 우리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사전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 AD)작성을 정착시키기 위한 여건의 조성과 정책적 도입이 시급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주제어
Life Sustaining Treatment(LST)  ,Health Professional  ,General Public  ,Q-methodology  ,Co-orientational Loo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1 15 유전학 3-methylcrotonyl-CoA carboxylase 결핍증의 임상 양상과 유전자 분석 / 이승은 외 2015  269
3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로부터 퇴행성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망막색소상피의 생선 연구 동향 / 유대훈 외 2015  272
29 15 유전학 (Nature) 줄기세포 노화에 따른 Hoxa9 유전자 의존성 2016  278
28 15 유전학 GMO의 비의도적 유출과 개발기업의 책임 / 김은진 2015  284
»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은자 외 2016  292
26 15 유전학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바이러스(PRRSV)의 전장 유전체염기서열(whole-genome sequencing) 분석을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의 활용 / 문성현 외 2016  313
25 15 유전학 대장균의 항균제 내성과 독력 유전자의 분석을 활용한 융합기술연구 / 한재일 외 2015  328
24 15 유전학 CRISPR/Cas 지놈 편집 기술을 이용한 빠른 세대전환 유전자 조작 생쥐 생성 / 이희우, 성정준, 김혜민, 이재삼 2014  330
23 15 유전학 '혼인종료 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 子'의 친생추정에 관한 연구 / 승이도 2015  339
22 18 인체실험 제네바선언과 현대생명윤리 / 이상원 2015  348
21 15 유전학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 / 홍남희 2015  351
20 14 재생산 기술 일본「재생의료안전법」이 한국 생명윤리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5  411
19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7
18 15 유전학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고객인식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위험 조절효과 분석 / 유영애, 우성근, 권기완 2014  427
17 15 유전학 산전 유전자 검사 / 한유정 외 2011  437
16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2005  445
15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53
14 15 유전학 유전상담과 전문 유전상담사 수요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 / 정윤석 외 2007  477
13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12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