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공간과 사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136161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Geography of MERS outbreak and politics of bio-power


 
제어번호 101136161
저자명 최병두(Byung-Doo Choi) 
학술지명 공간과 사회
권호사항 Vol.53 No.- [2015] 
발행처 한국공간환경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73-192(20쪽)
발행년도 2015년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2015년 5월 20일 첫 황자가 발생하면서 시작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사태는 이 바이러스의 높은 치사율과 예기치 못한 전파 경로 때문에 사태 관련 당사자들뿐만 아니라 전체 국민을 불안과 혼돈의 도가니 속에 몰아넣었다. 이 사태는 일단 7월 말 종식이 선언되었지만, 사회경제적으로 엄청난 충격을 주었음에도 이에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해서, 앞으로 유사한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대안적 정책과 깊이 있는 학문적 분석이 요구된다. 이글은 지리학적 관점에서 이번 메르스 사태의 발생 및 전개 그리고 이에 대한 병원과 정부의 대응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번 메르스 사태는 학문적으로 여러 측명에서 분석되어야 하겠지만, 특히 이 글은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에 초점을 두고, 메르스를 포함해서 현대 사회에서 새로운 전염병이 등장하는 지리적 배경과 공간적 전파에 관한 문제, 이러한 전염병의 출현과 확산에서 병원이라는 장소의 문제, 전염병의 확산에 따른 확진 환자 및 이들과 접촉한 사람들의 격리와 감염을 우려한 일반인들의 이동성 위축의 문제, 끝으로 가장 심각한 점으로 관련된 지리정보의 통제와 질병 관리에 관한 생명권력의 정치의 문제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메르스 사태, 무엇이 문제인가?
2. 메르스 전염병의 발생 배경과 공간적 전파
3. 전염병의 진원지 또는 허브로서 병원의 장소학
4. 사회심리적 불안과 공간적 격리/이동의 지리학
5. 생명권력과 지리정보의 통제를 둘러싼 정치
6. 결론: 메르스 사태의 교훈과 대책


주제어
diffusion of contagious disease  ,placeness of commercial hospital  ,the MERS outbreak  ,생명권력의 정치  ,의료지리정보의 통제  ,socio-spatial isolation of actual and potential patients  ,control of medical geographical information  ,politics of bio-power  ,환자의 상회공간적 격리  ,메르스 사태  ,병원의 장소학  ,전염병의 확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68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 최윤정 2010  425
1467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7
1466 13 인구 저출산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 출생아수 감소원인 분석 및 대처방안 연구 / 황해범 2006  715
1465 13 인구 저출산 문제점과 정책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유형별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 정윤경 2007  1468
1464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 한 학교복합시설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9  379
1463 22 동물복지 도축되는 한우 혈액에서 회수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 김민수 외 2012  272
1462 9 보건의료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천병철 외 2012  301
1461 9 보건의료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 김은경 외 2013  644
1460 16 환경 기후변화가 식중독 및 수인성 질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잠재적 영향 분석 / 윤시몬 2013  460
1459 15 유전학 경북 동부지역 꿀벌에서 주요 병원체의 분자생물학적 검출 / 우인옥 외 2013  151
1458 9 보건의료 인수공통성 병원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SFTSV) / 신성식 2013  152
1457 9 보건의료 병원체의 다중적 구성 / 김기흥 2015  124
1456 9 보건의료 외래침입 병원체에 의한 작물 병 발생 및 분포 / 조원대 외 2005  659
1455 9 보건의료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의 국내 발생 및 실험실 감시 현황 / 지영미 2006  622
1454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리와 실현 / 윤석찬 2015  149
1453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145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 박태신 2015  340
1451 9 보건의료 의료 광고 상황에서 관계적 규범에 따른 효과적인 가격 프로모션 전략 / 김재휘 외 2015  156
1450 1 윤리학 IoT 환경의 의료 정보보호와 표준 기술 / 우성희 2015  197
»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