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0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현상과 인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310352 

삶의 마지막 단계
= A Critical Study of the Last Stage of Life: On the Good Death (euthanasia) from a Christian Bioethical Perspective : Examining Cases from Switzerland and Germany


 
제어번호 101310352
저자명 박충구(Choong Koo Park)
학술지명 현상과 인식
권호사항 Vol.39 No.3 [2015] 
발행처 한국인문사회과학회 
발행처URL http://www.hi1977.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97-231(35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현대 의료기술과학의 급속한 발전은 오늘의 현대인들에게 두 가지 삶의 변화를 가져왔다. 더욱 오래 사는 것과 더 길어진 죽어감의 과정이다. 이런 변화를 초래한 요인은 20세기 초와 비교해 볼 때 한층 좋아진 위생관념, 페니실린의 발명, 좋은 영양공급, 진전된 사회복지 혜택, 그리고 의료기술의 개발 등이다.
그 결과 65세 이상 생존율이 20세기 초에는 13%였지만 오늘의 고소득 사회에서는 무려 87%에 이른다. 인간의 수명이 연장된 사회에서 노년 사회구성원들 층은 두터워지고 건강을 잃은 노인들의 삶의 질이 급격히 저하된 채 의료과학 기술의 도움으로 생존이 더욱 연장되고 있다.
특히 말기 환자들의 경우 고령과 질환으로 인한 신체적 장애, 그리고 제거할 수 없는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는 이들이 일종의 탈출구로 자살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일부 사회는 환자의 죽을 권리를 인정하고 의사조력 죽음을 제도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상을 “낯선 죽음”이라고 규정하고 그 원인을 규명한 후, 낯선 죽음을 받아들이는 입장과 반대의 입장을 살핀 후 기독교 신앙 공동체 안에서 의사조력 죽음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이해지평을 찾아보려 하였다.
안락사 혹은 의사조력 죽음의 법제화에 있어서 선진 사례라 할 수 있는 스위스와 독일의 경우를 살펴 본 결과 본 논문은 서구 사회 일각에서 합의하고 있는 의사조력 죽음은 전통적인 보수적인 기독교 신앙의 관점에서는 허용되기 어려우나 보다 새로운 신학적, 생명 윤리학적 이해를 통하여 예외적으로 허용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고 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낯선 죽음”의 도래
3. “낯선 죽음”의 원인
4. “의사/비의료진 조력 죽음” 선택에 대한 찬반의 입장
5. 고통 없는 편안한 죽음 (Euthanasia): 스위스와 독일 사례
6. 기독교 생명윤리학적 분석과 제안
7. 결론


주제어
생명윤리  ,안락사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  ,환자의 죽을 권리  ,Biomedical Ethics  ,Euthanasia  ,Death and Dying  ,Physician Assisted Dying  ,Patient’s Rights to di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70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사회 고령자들의 임종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 / 김동조 2018  96
69 20 죽음과 죽어감 신해철법과 웰다잉법 / 신현호 2016  97
68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21
6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철학 상담 / 정영기 외 2017  132
6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정책수단 평가 및 해결방안 연구 / 김정기 외 2017  143
65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2016  143
64 20 죽음과 죽어감 [논고] 이른바 '죽을 권리'는 '죽일 권리'인가/윤성혜 2016  152
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인간다운 죽음은 실현될 수 있는가? /이은영 2018  154
6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생사학적 비판 / 오진탁 2017  156
6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 / 박영선 2009  169
6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사회의 자살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제해종 2015  174
»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58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한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용식 2017  187
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이른바 웰다잉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김화 2016  207
56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한 죽음의 인식변화 : 임종, 상장례 중심으로/ 정일련 2019  211
5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및 영향요인 / 김종근 외 2016  212
54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법의 새로운 과제 ; 죽음관련 법제의 현안 과제에 관한 일고찰 / 이인영 2016  212
5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고찰/문정희 2006  227
52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우울증과 자살예방을 위한 동태분석 연구: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 김정기 외 2017  232
5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 권말숙, 홍주영 2019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