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 건설관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69202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국가별 주택관련 정책 비교연구



 
저자 이무희
형태사항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재준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 건설관리학과 2016. 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한국은 이미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더욱 심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고, 한국보다 먼저 고령화시대를 맞이한 주요 선진국보다도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시대에 접어들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는 경제활동인구 감소, 고령자 증가, 1~2인 가구를 통한 소형주택 선호 등의 주택 수요와 공급차원의 과잉된 주택보급률, 소형주택 매매, 전·월세 가격 급등 등의 직접적인 영향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각 관련분야 정책을 내세워 극복하려고 하지만, 단기적인 효과일 뿐 장기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다수의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고, 실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다 먼저 저출산, 고령화시대에 접어든 국가들의 정부차원에서의 대응방안인 정책을 조사하여, 현재 한국의 주택 관련 정책과 비교하여, 기존 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미국의 경우는 장기간의 이민자정책을 통해 어느 정도의 안정적인 인구구조를 형성하여 주택의 질적 공급을 위한 금융(세금관련) 지원, 거주자 삶의 질과 연관된 의료, 여가 등의 분야에 걸친 정책을 제시하였고, 영국의 경우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인구구조가 안정적이기에 주택 공급, 거주자 삶의 질과 연관된 정책보다는 공공임대주택 민영화 추진과 관련된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 독일의 경우는 주택관련 정책에 노동, 양육 등의 분야 포함 및 도시적 차원에서의 재구조화를 초점으로 단일 건물의 공간이 아닌 주거지역 공간의 개선을 통한 정책을 제시하였고, 일본의 경우는 수요자인 실거주자측면보다는 공급자측면에서의 정책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사회 환경적 변화인 인구구조변화에 따라 주택가격, 수요 맞춤형 공급량 보충과 같은 일시적인 효과를 지향하기보다는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준 독일과 같이 주택시장에서 장기적으로 인구구조변화를 극복할 수 있는 도시개념의 주거지역 안정화를 위한 정책 및 실거주자인 수요자측면에서의 소득지원, 양육, 교육, 가구지원, 고용지원, 노후소득보장 등과 관련된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존 주거환경이 취약한 노후주택에 대한 관리 강화와 같이 개별주택과 도시의 주거환경에 대한 유지 및 관리차원의 정책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택사업에 비중이 높은 국내 건설업체들은 무장애 주택과 같은 주택개조사업, 주택리모델링 등과 맞물려 수요자인 실거주자측면에서의 도심재개발, 기존의 주택지역 녹지화(공원) 등의 거주지역 개선인 도심지역 재구조화와 관련된 사업계획 및 전략을 동시에 구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 

제 2 장 이론적 고찰 7
2.1 한국 인구구조 변화 개요 7
2.2 한국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주택시장 현황 12
2.3 한국 인구구조에 따른 주택정책 개요 17
2.4 선행연구 고찰 21 

제 3 장 국가별 인구구조변화 및 주택정책 조사 24
3.1 미국 24
3.2 영국 33
3.3 독일 40
3.4 일본 48 

제 4 장 국가별 인구구조변화 관련 주택정책 비교분석 60 

제 5 장 결 론 64 

참고문헌 67 

Abstract 70 

감사의 글 7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488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2013  322
1487 12 낙태 독일과 한국에서의 낙태의 규범적 평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김학태 2010  322
1486 9 보건의료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적용한 메르스 예방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 유성신 2016  322
1485 9 보건의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배현아 2009  323
1484 15 유전학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나고야 의정서의 법·정책적 대응·과제/김세규 2013  323
1483 1 윤리학 몸의 성서신학적 이해/백운철 2016  323
1482 2 생명윤리 생명존중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안선민, 박경일 2016  323
148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2013  323
148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함의 / 원동규, 이상필 2016  323
1479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법의 문제점과 실효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이인곤 2014  323
1478 9 보건의료 신설 의학교육기관 평가인증 기준 및 규정 개발 연구 / 김영창 2019  323
1477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사회에서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연구 / 윤계형 2009  324
1476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1475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2004  324
1474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1473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2015  324
» 13 인구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국가별 주택관련 정책 비교연구 / 이무희 2016  324
1471 18 인체실험 연재11. 인간 대상 연구에서의 윤리 / 안영미 2014  325
1470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상급종합병원 의료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비교 / 박정아, 정덕유 2013  325
1469 9 보건의료 유교의 관점에서 본 노년의 사회적 의미와 양로의 정치학적 함의 / 홍성민 2014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