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58262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Analysis of Decision-making Type and Content of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Bioethics Edu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Panel Discussion


 
제어번호 101758262
저자명 문성채 ( Sungchae Moon )
학술지명 윤리교육연구
권호사항 Vol.38 No.- [2015] 
발행처 한국윤리교육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9-108(3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본 연구는 생명윤리 교육에서 패널토론을 적용하고 의사결정 변화를 살펴보고자, 대학교양 생명 윤리 교육에서 패널토론을 2회 실시하고 대학생 28명의 패널토론 전과 후 의사결정 양상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토론 전과 후 의사결정에서 의사를 고수한 청중은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적극적 안락사는 85.7%, 소극적 안락사는 82.2%로 나타났다. 토론 후 청중이 의사결정을 고수한 이유는 패널의 정보에 의해 결정한 의사에 대한 논거가 더욱 견고해졌기 때문이었다. 둘째, 패널토론 후 의사결정 변화는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적극적 안락사는 14.3%, 소극적 안락사는 17.8%로 낮게 났지만, 패널의 정보를 통해 청중들의 논거는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배아 줄기세포연구의 대안으로 성체줄기세포연구가 제기되었으며, 소극적 안락사에서 환자의 사전 의사 결정의 중요성과 의료복지 차별화 가능성에 대한 논거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셋째, 패널토론에 의한 윤리적 의사결정 그룹 간 차를 유형별로 비교한 결과,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소극적 안락사에서 유형1은 그룹1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형4는 그룹2가 높게 나타나, 그룹 간 윤리적 의사결정 차를 보였다. 유형2와 유형3의 그룹 차는 배아줄기세포연구와 적극적 안락사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소극적 안락사는 그룹2에서 21.4% 증가했다. 그룹2가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사를 변경한 이유는 가족의 공리를 더 우선적으로 고려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제적 이유로 인한 안락사는 사회적으로 의료복지 차별화에 따른 불가피한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윤리적 의사결정을 목적으로 하는 생명윤리 교육에서 패널토론 적용은 패널이 제시한 다양한 논거에 덧붙여 이러한 가치가 개인과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부연 설명이 필요하다.



주제어
생명윤리교육  , 패널토론  , 배아줄기세포연구  , 적극적 안락사  , 소극적 안락사  , bioethics education  , panel discussion  ,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 active euthanasia  , passive euthanasi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48 1 윤리학 신경윤리의 독자성과 주요 쟁점들 / 김효은 외 2018  159
2847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9
2846 5 과학 기술 사회 현대 사회의 과학 기술과 책임의 문제 / 구인희 2003  159
2845 22 동물복지 동물 복지관점에서의 실험동물 / 김병수 2012  159
2844 9 보건의료 신약개발 활성화를 위한 적응적 설계 임상시험 가이던스 개발 연구 / 최종열 외 2014  159
2843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환자중심적 커뮤니케이션이 만성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건강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정선 외 2018  159
2842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영향요인 / 전윤화 외 2017  159
2841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 권리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상기 2018  159
284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계약에 있어서 비밀유지의무위반의 민법상 책임 / 김세준 2014  159
283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의 기준과 사상과 양심의 자유 / 유호종 2007  160
2838 9 보건의료 환자 상태 정보를 활용한 메르스 치사율 추정법 / 황선영 외 2016  160
2837 14 재생산 기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안'을 통해 본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논쟁 / 문기영 2005  160
2836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관련 법안에 대한 검토 / 김종일 2016  160
2835 1 윤리학 유럽연합과 미국의 잊힐 권리에 관한 입법 소고 / 김훈범 2016  160
2834 9 보건의료 일본, 의료분야 빅 데이터 활용 방안 / 우청원 2016  160
2833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법에 대한 법·제도적 연구 / 선은애 2016  160
2832 9 보건의료 노인 건강 및 장기요양정책의 현황과 과제 2016  160
2831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개념과 가치, 그리고 한국의 현실과 과제 / 최용준 외 2013  160
283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민감성 및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사윤리강령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 정계선 2017  160
282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영적건강 및 장기기증 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 최동원 외 2017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