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52108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A Study on Criminal Issues Related to Bioethics


 
제어번호 99852108
저자명 박광현 ( Kwang Hyun Park )
학술지명 法과 政策(Law & Policy Review)
권호사항 Vol.19 No.2 [2013] 
발행처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Institute of Law & Policy Cheju National University)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51-175(25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년
KDC 360.5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현대 생명공학의 발달로 인해 배아연구, 줄기세포, 유전공학 등이 우리에게 불치병과 난치병의 연구에 희망을 안겨주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윤리적인 문제점도 부각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생명공학 연구의 정당성이 요구된다. 생명윤리에 관한 논쟁은 초기에는 주로 생명공학의 유용성과 위험성에 대한 논의였다.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생명공학의 붐은 현재에는 그 구체적인 제한과 허용 기준에 대한 논의로 전환되고 있다.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에 대한 새로운 법률문제를 출발점으로 삼았던 생명윤리논쟁은 인간복제시대에 들어서면서 과거에는 문제시되지 않았던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났다. 인간의 시작에 대한 논쟁과 유전자 치료술에 의한 생식자의 법적지위, 유전자정보의 특성, 바이오매트릭스의 허용 등 중첩적 또는 개별적으로 논의의 중심에 놓이게 된 것이다. 이것은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어느 정도까지 용인할 수 있는가의 가치판단이 개입된 문제인 동시에 사회적 합의가 요구되는 규범적 문제로 부각되었다. 민사법적 논의로 시작된 생명윤리에 관한 문제는 이제 형사법논의로 발전되었는데 이는 생명공학의 위험성의 통제도구로서 형사정책상 필요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생명공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는 것이 형법의 새로운 임무가 되었다. 생명공학을 둘러싼 경제적 가능성이나 위험성이 증대될수록 형사정책적 분석이나 예측의 필요성이 강조될 것이고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문제는 그 구체적인 기준과 내용을 통해 어느 정도까지 수인할 수 있는지가 새로운 화두가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인간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바로미터를 각 사례에 따라 검토하고자 한다.



주제어
생명윤리  ,생명공학적 위험  ,법적 규제  ,위험평가  ,배아  ,대리모  ,뇌사  ,장기이식  ,bioethics  ,biotechnological risk  ,legal regulation  ,risk assessment  ,Embryo  ,surrogate mother  ,brain death  ,organ transplanta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에 있어서 부자관계설정에 관한 소고 / 김상헌 2016  64
27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2
»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25 10 성/젠더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와 가부장적 성장치로서 가족, 신체, 시장 / 고정갑희 2016  231
24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2018  269
2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4
22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2017  321
2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2014  334
2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2008  360
1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과 부모 결정 : 법적·철학적 함의 / 박준석 2013  384
18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
17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16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15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2010  526
1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 김향미 2012  534
1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전혜정 2011  556
1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고찰 / 민경매 2003  562
1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 정도희 2010  568
1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5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