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건국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줄기세포 중개의학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97138 

Bipotential hemoangiogenic-like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for hemangioblast and endothelial cell differentiation

: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 및 기능성 혈관세포 분화 방법과 특성 연구



 
저자 길창현
형태사항 81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정형민
학위논문사항 Thesis(doctoral)-- 건국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줄기세포 중개의학 2016. 2
발행국 대한민국
언어 영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초록
인간 혈액모세포는 혈액계통 및 혈관으로 분화가 가능한 다분화성 세포로 연구가치가 크지만, 인간 발달 초기에 발생하기 때문에 연구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혈액모세포 연구에 분열과 증식이 무한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활용하였다. 그러나, 기존 보고 된 방법들은 세포주에 의존적이고 인간 배아줄기세포 군집을 단일세포로 분리하는 과정에서 효소 및 레이저를 이용한 세포분리에 의한 세포 손상 및 사멸이 야기되어, 혈액모세포 및 혈관세포의 분화 유도 및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 극복하기 위해서 재현성이 높은 단순한 분화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단일세포 분리과정에서 기존의 효소를 이용하지 않고, DPBS 방법을 도입하였다. 인간 배아줄기세포에 효소 처리한 그룹과 비교한 결과 세포의 생존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효소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에 의해 획득한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단일세포를 혈액모세포와 혈관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배상체를 유도함과 동시에, 부유배양과 부착배양을 통해 이중분화를 유도하였다. 이후, 분화된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혈액모세포와 혈관세포 특성분석을 위하여 조혈계통 세포로의 분화와 유전자, 단백질 특이 인자 발현을 분석하였고, 분화 세포의 기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지허혈 동물모델에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혈관세포를 이식을 하였다. 그 결과, 하지허혈 모델에서 혈류 흐름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치료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컴퓨터 단층촬영과 조직분석을 통한 신생혈관 탐색을 통하여 치료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분화과정에 생기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효소를 처리하지 않는 방법을 도입하였고, 분리된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단일세포로부터 혈액모세포와 혈관세포로 이중분화 잠재성이 있는 배상체를 유도하였다. 부유배양을 통해 조혈계통으로 분화 가능한 고효율의 혈액모세포 분화와 부착배양을 통해 기능성 혈관세포로 분화하였다. 그 결과,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와 혈관세포를 시간을 단축하면서 고효율의 세포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혈, 혈관 신생 및 혈관 생성에 관한 임상에 사용 가능한 세포 치료제의 공급뿐만 아니라 줄기세포 연구에 매우 유용 할 것이다.
Keyword : 세포치료, 분화, 혈관세포, 혈액모세포, 조혈과정, 인간배아줄기세포

 


 
목차
Chapter 1 General background 1
1.1. Human pluripotent stem cell 2
1.2. Hematopoiesis 3
1.3. Heamngioblast 4
1.4. Endothelial cell 5
1.5. Cell therapy 6

Chapter 2 Derivation of hemoangiogenic-like cells from hESC through DPBS dissociation 8
2.1. Introduction 10
2.2. Materials and methods 12
2.2.1. Human embryonic stem cell culture and dissociation 12
2.2.2. Derivation of hemangioblasts from single cell dissociated hESCs 13
2.2.3. Flow cytometric analysis 15
2.2.4. Immunocytocehmistry analysis 15
2.2.5. Wright-Giemsa staining 16
2.2.6. Statistical analysis 16
2.3. Results 17
2.3.1. Enzyme mediated dissociation and its impact on hemangioblast differentiation 17
2.3.2.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cell dissociation reagents on hESCs 19
2.3.3. Characterization of hemangioblasts derived from single cell dissociated H9-hESCs without enzymatic treatment 26
2.4. Discussions 33

Chapter 3. Simple generation of endothelial cells from hemoangiogenic-like cells without purification 35
3.1. Introduction 37
3.2. Materials and methods 40
3.2.1. Human embryonic stem cell culture 40
3.2.2. Embryoid body induction and endothelial cell derivation 40
3.2.3. RNA extraction and RT-PCR analysis 43
3.2.4. Immunocytochemistry 45
3.2.5. Flow cytometry analysis 45
3.2.6. Matrigel assay 46
3.2.7. Ac-LDL uptake 46
3.2.8. Ischemic hindlimb model and cell transplantation 46
3.2.9. Laser Doppler analysis 47
3.2.10. Micro computed tomography 47
3.2.11.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stry analysis 48
3.2.12.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alysis 49
3.2.13. Statistical analysis 49
3.3. Results 51
3.3.1. Simple derivation of endothelial cells without purification 51
3.3.2. Characterization of the hESC-ECs 51
3.3.3. Enhanced vascularization by in vivo transplantation of hESC-ECs in ischemic mice 60
3.3.4. Restored muscle and tissue structure by hESC-EC transplantation 66
3.4. Discussion 70

References 73
Abstract (in Korean) 80



주제어
Cell therapy, Differentiation, Endothelial cell, Hemangioblast, Hematopoiesis, Human embryonic stem cel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288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9
1287 10 성/젠더 양성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 안상수 외 2016  119
1286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 한정열 외 2015  119
1285 1 윤리학 건강보험 재정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은경 2018  119
1284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1283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 등 첨단의료기술에 근거한 체외배아의 법적지위 고찰/유지홍 2016  119
1282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최적의 제대혈 선택 지침 / 유건희 2014  119
1281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2009  119
1280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의 열쇠, 인공심장 기술개발 동향 / 박장선 2003  119
1279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표현범위에 관한 연구 : 의사와 소비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 최선호 2004  119
1278 9 보건의료 연구간호사의 연구중심병원사업 인지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역량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경미, 김양균 2015  119
1277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숨은 그늘 / 주일우 2001  119
1276 15 유전학 유전체연구의 전략적 대응방안 / 안두현 2000  119
1275 9 보건의료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한의사의 초음파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장준혁 2014  119
1274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127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
1272 8 환자 의사 관계 제소 전 의료분쟁 해결에 관한 연구 : 한국소비자원 의료분쟁 조정을 중심으로 / 김경례 2012  118
1271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8
1270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 장난순 외 2018  118
1269 9 보건의료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를 위한 모바일 웹 개발 / 고진경 2018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