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광고연구(ADVERTISING RESEARCH)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96750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he College Students` Intentions to Resister and Discuss the Decision of Organ Donation with their Family in Situations of Living, Brain Death, and Heart Death: Using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http://www.riss.kr/link?id=A100196750



  • 저자명

    차동필(Dong Pil Cha)                           

  • 학술지명

    광고연구(ADVERTISING RESEARCH)               

  • 권호사항

    Vol.- No.87 [2010]      

  • 발행처

    한국광고홍보학회(Korean Society for Advertising Education)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7-40(3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장기기증 유형별로 개인의 장기기증 희망등록의도와 가족의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139명의 대학...
  • 본 연구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장기기증 유형별로 개인의 장기기증 희망등록의도와 가족의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139명의 대학생을 대상을 설문조사를 한 결과, 생존시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뇌사시 기증 희망등록의도에는 경험적 태도(생존시), 도구적 태도(뇌사시), 지시적 규범, 자기 효능감, 통제력(뇌사시), 그리고 도덕적 규범 등이, 심장사시 기증 희망등록의도에는 자기 효능감만이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존시 기증을 위한 가족 동의획득의도에는 기술적 규범만이 유의하였으며, 뇌사시 기증을 위한 가족 동의획득의도에는 지시적 규범, 기술적 규범, 자기 효능감, 그리고 과거의 헌혈경험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심장사시 기증을 위한 가족 동의 획득의도에는 도구적 태도, 기술적 규범, 자기 효능감, 그리고 도덕적 규범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 가지 기증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응답자의 기증 희망등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기 효능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 동의획득의도에는 기술적 규범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가족동의획득의도에서는 자기 효능감이 뇌사시 기증과 심장사시 기증 두 유형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대학생의 장기기증 희망등록의도에는 자기 효능감이, 가족 동의획득의도에는 자기 효능감을 포함한 기술적 규범이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048 20 죽음과 죽어감 성적 소수자 지향성과 자살 위험성 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김형지 외 2018  106
1047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1046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1045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건강권의 법적 토대와 그 실현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고찰 / 정민수 외 2014  106
1044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104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1042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6
1041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2014  106
1040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1039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5
1038 2 생명윤리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홍석영 2019  105
1037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5
103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1035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5
1034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1033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5
1032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2017  105
1031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성민 2018  105
1030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5
1029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인체조직 유통 및 기증의 현황과 세법측면에서의 개선점 :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 최경아 2012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