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492877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risk factors affecting the graft survival in living unrelat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http://www.riss.kr/link?id=T9492877            

  • 저자

    전경옥

  • 형태사항

    v, 52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조우현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 2004.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4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말기 신장부전환자의 주요 치료법으로 인식되어진 신장이식에 있어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해 연구하여 공여 장기 부족에 대...
  • 본 연구는 말기 신장부전환자의 주요 치료법으로 인식되어진 신장이식에 있어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해 연구하여 공여 장기 부족에 대해 비혈연간 신장 이식의 활성화에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1979년부터 2002년 6월까지 서울 S병원에서 시행한 2115예의 환자 중 뇌사자를 이용한 신장이식 55예 아자시오프린을 주면역억제제로 사용한 115예를 제외한 1945예 중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환자 96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소 추적기간은 12개월이며 평균 추적 기간은 87.8개월이었으며 978예가 혈연간 신장이식이었고 967예가 비혈연간 신장이식을 시행하였다. 공여자의 구성원은 순수 기증자 781명, 교환이식 공여자 86명, 방계혈족 54명, 배우자 43명, 친구 3명이었고 수여자의 성별은 남자 640명, 여자 327명이었고, 공여자의 성별은 남자 707명, 여자 260명이었다. 수여자의 평균연령은 39.7±10.9이었고, 기증자의 평균연령은 33.7±8.6이었다. 5년 이식신 장생존율은 조직적합항원 완전일치군, 절반일치군, 비혈연간 신이식군 각각 93.7%, 87.6%, 83.4%이었으며 10년 이식신장 생존율은 각각 88.2%, 70.8%, 66.9%였으며 다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5년 환자 생존율은 혈연간 신이식군은 95.8%, 비혈연간 신이식군은 91.8%이며 10년 환자 생존율은 각각 92.1%, 84.0%로 다변량 분석에서 의의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환자 사망의 주요원인은 감염(39.9%), 뇌혈관질환(13.1%), 악성종양(9.6%), 심혈관질환(8.6%)이었다. 다변량 분석 시 이식신장 생존율에 미치는 위험인자는 급성거부반응의 기왕력, 공여자의 연령 55세 이상, 수여자의 55세 이상, 이식전 당뇨병 및 B형 간염의 과거력 여부이었으며 ABO혈액형의 적합 정도와 조직적합항원의 적합성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는 아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확인하였으며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의 성적이 혈연간 신장이식의 성적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향 후 공여 장기 부족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비혈연간 신장이식이 시행됨에 있어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9
3848 9 보건의료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2014  491
3847 15 유전학 착상 전 유전자 진단에 관한 연구/서계원 2012  491
3846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 하대청 2009  491
384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 이용 및 공개에 관한 법적기준 : 미국 프라이버시 규칙과 피험자보호 규칙의 검토 / 김진경, 한우석 2009  491
» 19 장기 조직 이식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전경옥 2004  490
384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3842 12 낙태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김금남 외 2017  489
3841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3840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
3839 15 유전학 세균 유전체에서 유전 물질의 상호교환에 대한 이해 / 김이환 2016  488
3838 2 생명윤리 샌델의 생명윤리에 관한 법철학적 고찰 / 박성민 2015  488
3837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8
3836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383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구인회 2005  487
3834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2012  487
3833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오미선 2019  486
3832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 기술이 인간을 진화시키고,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 / 김남욱 2018  485
3831 9 보건의료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제공경험 :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 / 주명순 2016  485
3830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382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