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192816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http://www.riss.kr/link?id=T11192816

  • 기타서명

    (A)Buddhist approach to an euthanasia

  • 저자

    김종민                                       

  • 형태사항

    iii, 48장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4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육리교육전공 2007

  • KDC

    224.1 4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7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안락사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고찰하였다.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의 입장은 매우 확고하다. 생명 존중의 대원칙을 지향하는 불교의 전통적인 입장에서는 모든 형태의 안락사에 ...
  • 본 연구는 안락사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고찰하였다.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의 입장은 매우 확고하다. 생명 존중의 대원칙을 지향하는 불교의 전통적인 입장에서는 모든 형태의 안락사에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고, 점차 노령화되어 가고 있는 사회적 추세와 안락사 허용에 관한 논의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지금의 상황은 현실적인 대응 방안을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제시가 매우 필요한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교의 생명 윤리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인간관, 생명관, 윤리관을 바탕으로 살펴보았고, 경전에 나타난 안락사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관점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안락사를 반대하는 명확한 불교의 입장을 알 수 있었으며, 반면 자신의 삶과 죽음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자기 결정을 중요시하는 측면과 깨달음을 얻은 사람의 죽음을 통하여 자의적인 안락사의 가능성도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안락사 반대의 가장 큰 이유인 불살생계에 대한 재해석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해석 가능성을 바탕으로 하여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안락사 허용에 관한 논의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제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죽음에 대한 자기 결정권의 존중이 필요하며, 죽음을 결정해야 하는 주변 사람들의 현명하고 신중한 판단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조건의 제시가 필요하다. 이제 안락사 문제는 허용하느냐 반대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적인 상황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안락사 결정의 조건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안락사를 결정하는 의사 결정 과정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조건 제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생명을 존중하는 불교의 대원칙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안락사를 허용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신중한 검토는 지금의 불교가 제시해야 할 과제일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 Ⅱ. 불교의 생명윤리 접근방법 3
  • 1. 불교의 인간관 3
  • 2. 불교의 생명관 5
  • 3. 불교의 윤리관 6
  • Ⅲ. 안락사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규정 9
  • 1. 안락사의 정의와 분류 9
  • 2. 안락사에 대한 제 입장 13
  • Ⅳ. 안락사에 대한 불교적 입장과 대응 원칙 16
  • 1. 안락사에 대한 불교의 입장 16
  • 2.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대응 원칙 28
  • Ⅴ. 결론 44
  • 참고문헌 46
  • Abstract 4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414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그 영향에 대한 과학적 이해 / 이경전 2017  73
414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3
4146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ㆍ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 심규미 2000  73
4145 9 보건의료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제네릭의약품 시판허가에 미치는 영향/ 박희영 2016  73
4144 5 과학 기술 사회 정보화시대의 지능형로봇 연구동향 / 백문홍 외 2008  73
4143 9 보건의료 공공보건 역량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론 / 김재용 2017  73
4142 9 보건의료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실습 교재 개발 / 은진수 2018  73
4141 12 낙태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 / 이광진 2017  73
4140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법안의 분석과 평가 : 입법학적 관점에서 / 홍완식 2009  73
4139 9 보건의료 암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이인정 2018  73
4138 18 인체실험 시험적 의료행위에 관한 형법적 연구 / 정재우 2004  74
4137 13 인구 저출산 관련 예산분석을 통한 정책적·비정책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아리마분석을 사용하여 / 정다운 2017  74
413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4
413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들의 호스피스 관리에 대한 임상적인 접근 1999  74
4134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애말기 암 관련 의료비 발생 현황 분석 / 김혜림 2017  74
4133 20 죽음과 죽어감 취약한 집단에서 연명의료 / 박소연 2017  74
4132 14 재생산 기술 이완술이 시험관아기 시술을 받는 불임여성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박점미 2000  74
4131 2 생명윤리 생명공학과 윤리 / 김명균 외 2017  74
4130 9 보건의료 처방의약품의 온라인 거래에 관한 미국의 규제체제와 시사점 / 김재선 2017  74
4129 2 생명윤리 바이오뱅크와 포괄적 동의 / 김문정 2012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