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탐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14328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An Ontological Knowledge on Life and Life’s Politics of Aesthetics


   http://www.riss.kr/link?id=A100214328

       

  • 저자명

    김대식(Kim, Dei-Seek)                                                                                   

  • 학술지명

    철학탐구               

  • 권호사항

    Vol.36 No.- [2014]                                                       

  • 발행처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77-206(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초록 (Abstract)

  • 지금 국가는 개별적인 인간의 생명을 돌보지 못하고, 자본은 그것을 수단화, 상품화하는 무사유(thoughlessness)에 대해 아랑곳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생명이 부유하고 있는 이 시대에 새로운 ...
  • 지금 국가는 개별적인 인간의 생명을 돌보지 못하고, 자본은 그것을 수단화, 상품화하는 무사유(thoughlessness)에 대해 아랑곳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생명이 부유하고 있는 이 시대에 새로운 생명 인식을 가능케 할 생명철학이 요청되고 있다. 자고로 생명은 모든 존재가 갖고 있는 그 고유성, 그것 자체가 되는 본래성이다. 이러한 생명이라는 텍스트는 콘텍스트 속에서 매순간 의미가 되고 가치를 획득할 수가 있다. 하지만 콘텍스트와의 관계에서 사건이 되는 생명의 텍스트가 자칫 패러디가 될 수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생명의 자기자신성(Selbtheit/Selfness)이 왜곡된 도덕에 의해서 사멸성(mortality)으로 전락하는 일은 생명을 가변적인 콘텍스트와 일치시키고 유일회성을 패러디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는 생명을 보존하고 관리해야 하는 선의 명령을 부여받은 존재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생명의 본성을 반성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자기의 생명과 타자의 생명이 윤리적 숙고를 통해서 논해져야 하고, 나아가 심층적인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서 생명을 깊이 있게 다루도록 해야 한다. 또한 그 무엇보다도 생명은 인간의 보편적 형식으로서 국가에 의해서도 유린될 수 없는 심미적(aesthetic) 경험 지평 속에 있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들어가는 말
  • 2. 생명의 본질과 생명철학의 요청
  • 3. 생명의 콘텍스트와 생명존재론
  • 4. 생명의 해석학적 이해와 생명인문학
  • 5. 생명미학적 정치의 가능성
  • 6. 나오는 말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048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1047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1046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건강권의 법적 토대와 그 실현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고찰 / 정민수 외 2014  106
104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104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1043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6
»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2014  106
1041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1040 15 유전학 "과학의 승리"는 어떻게 선언될 수 있는가? 친자 확인을 위한 혈액형 검사가 법원으로 들어갔던 과정 / 김효민 2019  105
1039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5
1038 2 생명윤리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홍석영 2019  105
1037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5
1036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1035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5
1034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1033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5
1032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2017  105
1031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성민 2018  105
1030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5
1029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인체조직 유통 및 기증의 현황과 세법측면에서의 개선점 : 부가가치세를 중심으로 / 최경아 2012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