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15 유전학 조회 수 155 추천 수 0 2016.11.29 10:00:36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264999 
“유전자와 생명현상”

                   

  • 저자명

    김규원                                              

  • 학술지명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권호사항

    Vol.28 No.- [2008]                                                         

  • 발행처

    한국정신과학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9-57(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8년


초록 (Abstract)

  • 생명과학은 생명현상을 물질적인 측면에서 탐구하기 때문에 물질적인 육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게된다. 이러한 육체는 다시 그 구성의 기본단위인 세포와 세포 내부에서 생명현상을 발현...
  • 생명과학은 생명현상을 물질적인 측면에서 탐구하기 때문에 물질적인 육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게된다. 이러한 육체는 다시 그 구성의 기본단위인 세포와 세포 내부에서 생명현상을 발현하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분자수준의 물질인 유전자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의 육체는 적어도 수십조에 달하는 무수히 많은 수의 세포들로 구성이 되어 있고 이러한 세포들은 하나의 수정란 세포로부터 무수히 많은 분열과정을 거쳐 거대한 수의 세포덩어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분열과정을 거치면서 동시에 다양한 분화과정이 일어나서 우리의 몸은 수많은 세포들이 모여 있는 단순한 세포덩어리가 아니라, 다양하면서도 서로 유기적이고 독특한 기능을 가진 세포들의 집합체인 것이다.
    그러면 나의 몸은 생존해 있을 때 동일한 자신이라고 여길 정도로 독특한 형태를 어떻게 유지시킬 수 있는가? 또 자신이 사멸될 경우에도 자신과 유사한 후손을 낳아 자신의 고유한 정체성을 어떻게 지속시킬 수 있는가? 이러한 의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생명과학에서는 우리 몸 구성의 기본단위인 세포에 초점을 맞추어 그 내부를 깊숙이 들여다보았고, 그 결과 세포속의 유전정보가 복제되어 다음 세대의 세포로 전달됨으로써 이러한 현상이 일어남을 알게 되었다. 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유전정보의 전달물질을 유전자로 명명하게 되었고 이 유전자는 DNA라는 분자로 이루어 졌음이 규명되었다. 그리고 1953년 생명과학분야의 가장 획기적인 발견인 DNA의 분자구조가 알려지면서 지난 50년간 DNA와 유전자에 관련된 수많은 연구가 폭발적으로 이루어졌고 마침내 지난 2000년 인간 전체 DNA 서열이 밝혀지게 되었다. 인간의 모든 유전정보가 알려지면서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원적 질문에 대해 과학적 탐구를 본격화시킬 수 있으며 앞으로 모든 인간 유전자의 기능과 실체가 규명되면서 그 활용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예측이 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유전자 구성성분 : A , G , C, T 4종의 D N A
  • 유전 정보의 발현과정
  • 인간 게놈 프로젝트 (2001년)
  • 유전자 재조합 기술
  • 세포의 분화
  • 유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
  • 유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888 15 유전학 유전정보의 이용과 보호에 관한 법규제적 연구 / 김민정 2003  155
2887 8 환자 의사 관계 중국의 의료분쟁 조정제도 : 의료분쟁 조정제도 / 조도환 2005  155
2886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2015  155
2885 15 유전학 연구논문 :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에 관한 의무준수 및 점검기관 설치에 대한 소고/오선영 2012  155
»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2008  155
288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55
2882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의 발전과정과 법정책적 과제 / 조형원 2007  155
288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에 살아남는 법 / 고인석 2016  155
2880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문화적 관점과 장기이식의 윤리 / 이상목 2005  155
2879 9 보건의료 건강보험급여구조와 비급여 관리 / 지영건 외 2017  155
2878 13 인구 저출산시대에 인구감소 방지를 위한 고위험임신 관리방안 / 이난희, 송혜숙 2017  155
2877 1 윤리학 구조행위자에 대한 지원방안으로서 선한 사마리아인법 / 김병수 2017  155
2876 15 유전학 운명과 선택의 이야기로서의 유전자 - ‘인간적 과학’을 위한 교양교육의 탐색 - / 한수영 2018  155
2875 9 보건의료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및 측정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장선주 외 2017  155
2874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에 대한 서울지역 안경사들의 인식도 비교 조사 연구 / 강수지 외 2016  155
2873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의 잊힐 권리에 관한 최근의 입법 동향과 법적 과제 / 김나루 2018  155
2872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김한균 2018  155
2871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에 관한 시민 인식 연구 /모효정 2012  155
2870 9 보건의료 의료 광고 상황에서 관계적 규범에 따른 효과적인 가격 프로모션 전략 / 김재휘 외 2015  156
2869 14 재생산 기술 다양한 기원의 돼지 배아유래 만능성 줄기세포의 특성분석 / 김은혜 2015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