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364104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소고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of who was born through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 저자명

    오호철(O Ho-Cheol)                                              

  • 학술지명

    법학연구               

  • 권호사항

    Vol.33 No.- [2009]                                                         

  • 발행처

    한국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1-186(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초록 (Abstract)

  • 최근 불임부부가 증가하면서 보조생식술을 통해 자를 갖기를 희망하는 부부가 늘어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를 통해 출생하는 자도 증가하고 있다. 보조생식술은 크게 인공수정과 체외수...
  • 최근 불임부부가 증가하면서 보조생식술을 통해 자를 갖기를 희망하는 부부가 늘어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를 통해 출생하는 자도 증가하고 있다. 보조생식술은 크게 인공수정과 체외수정이 있으며, 각각 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과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으로 나뉜다. 이외에 대리모를 통해서도 자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보조생식술을 통해 자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이를 직접적으로 규율하는 법률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현행 민법은 자연생식을 통해 자를 얻는 경우의 친자관계만을 규율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에게 이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다만, 보조생식술 중에서 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의 경우는 자연생식에 의해 태어난 자와 차이가 없기 때문에 현행 민법의 규정을 적용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체외수정)과 대리모의 경우 어떻게 친자관계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외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살펴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민법상 친자관계에 문제가 되는 보조생식술의 유형
  • Ⅲ. 비배우자간 보조생식술의 친자관계
  • Ⅳ. 맺으며
  • 參考文獻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548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규제개혁을 위한 핵심 덩어리 규제의 식별 / 김성준 외 2016  138
154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과 유보 결정에 대한 한국 중환자 전담의사 인식과 실행/김소윤 외 2009  138
1546 19 장기 조직 이식 Extracorporeal Support for Organ Donation after Cardiac Death Effectively Expands the Donor Pool 2005  138
1545 9 보건의료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이 의약품 약가에 미치는 영향 / 구하영 2019  137
1544 15 유전학 유전자 맞춤의학(Personalized Genomic Medicine)의 사회적 함의 / 김상현 외 2013  137
1543 9 보건의료 건강한 사람 대상 임상시험의 윤리적 위험성 최소화 방안 연구 / 방성윤 2018  137
1542 2 생명윤리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순희 외 2017  137
1541 13 인구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조아라 2018  137
1540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의 개발동향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이지예 2016  137
1539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의 실태와 해결에 관한 연구 2017  137
1538 8 환자 의사 관계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개인의료, 건강정보 보호의 중요성 / 이상윤 2016  137
153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 운영에서 생성되는 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가치 / 최준영 2015  137
1536 15 유전학 The Gene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at by Using a CRISPR/Cas9 System / 하아나 2016  137
1535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 연구 / 하정옥 2015  137
1534 19 장기 조직 이식 모자간의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현상이 이식신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09  137
1533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수리 모형에 관한 연구 / 김정아 2011  137
»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관한 소고 / 오호철 2009  137
1531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전 total lymphoid irradiation(TLI)이 신장이식후 거부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기근 1982  137
1530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이행을 위한 덴마크 정부의 정책 및 입법 방안에 대한 소고/오선영 2013  137
1529 8 환자 의사 관계 분업적 의료행위에 따른 형사책임관계/정웅석 2014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