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28875 
자기결정권 법리의 체계화를 위한 형법학의 과제
= An Assignment of Criminal Law for systematization of Self-determination

                                 

  • 저자명

    이얼(Lee, Eol)                                                             

  • 학술지명

    법학연구               

  • 권호사항

    Vol.54 No.4 [2013]                                    

  • 발행처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61-288(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3년

초록 (Abstract)

  • 오늘날 자기결정권의 사상은 형사입법단계에서는 입법의 한계선으로서 기능하며, 형법 규정이 존속하는 동안에는 구성요건의 해석 기준으로서 기능하며, 자기결정권을 부당하게 제한하는 ...
  • 오늘날 자기결정권의 사상은 형사입법단계에서는 입법의 한계선으로서 기능하며, 형법 규정이 존속하는 동안에는 구성요건의 해석 기준으로서 기능하며, 자기결정권을 부당하게 제한하는 규정들을 비범죄화하는 근거로서 기능하는 등, 형법의 입법단계에서부터 그 폐지단계까지 전 과정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기결정권에 관한 이론적 토대는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자기결정권의 법리를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형법학자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형법은 국가가 개인의 자유를 가장 철저하게 보호할 수 있는 수단임과 동시에 개인의 자유를 직접적으로 제한하는 수단이 되므로, 형법학은 자기결정권 보장의 근거를 제공해줌과 동시에 자기결정권 제한의 근거를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이에 형법이 자기결정권을 보호법익으로 삼고 있는 경우, 형법이 사회적 법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개인의 자기결정권을 제한하는 경우, 형법이 행위의 위법성 판단에 있어 피해자의 자기결정권을 반영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형법학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기 위해서는 법익보호 임무, 비범죄화, 사회상규 및 후견주의와 자기결정권의 관계, 피해자의 승낙 등 형법의 주요 이론들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이러한 재검토를 통하여 형법 제규정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자기결정권 사상이 목적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 보장 요청에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는 자기결정권 법리의 체계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자기결정권 법리의 체계화에 따른 형법학자의 역할
  • Ⅱ. 헌법상 자기결정권 법리의 현상
  • Ⅲ. 형법학에서의 자기결정권의 현상과 기능
  • Ⅳ.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3768 18 인체실험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교육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지식 비교 / 추상희 2011  100
3767 20 죽음과 죽어감 노년기에 관한 생명윤리적 성찰 / 정재우 2017  100
3766 13 인구 여성 인재 DB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홍희정 2017  100
376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를 위한 퇴원 전 집단교육 프로그램 개발 2017  100
3764 9 보건의료 가족구조에 따른 미성년 자녀의 의료이용 분석 / 김정욱,최재성 2016  100
3763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과 희귀난치성질환 전문병원의 희귀의약품 사용현황 / 최경숙 2016  100
3762 9 보건의료 의료IT융합 기술 연구 동향 / 김승환 2016  100
3761 5 과학 기술 사회 IoT 환경에서 생체정보를 이용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인증방법 설계 / 박상현 2017  100
3760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3759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2016  100
3758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차 현황분석과 한국의 경쟁력 확보 전략/양은지 외 2017  100
3757 14 재생산 기술 모성보호정책 확대에 관한 연구 2013  100
3756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들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 한수경 2015  100
375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개념 및 현황: 한국, 일본, 미국 및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 정영미 2015  100
3754 18 인체실험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에 관한 소고 / 서종희 2017  100
3753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분류에 관한 연구 / 하영경 2016  100
3752 9 보건의료 메르스 양성 진단자와 접촉한 대상자의 재택격리 경험 / 하주영, 반선화 2017  100
3751 9 보건의료 지역사회 노인의 정신건강 기초조사를 위한 예비연구 / 주현빈 외 2017  100
3750 9 보건의료 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당뇨요인분석 및 예측모델개발 / 조인식 2018  100
3749 14 재생산 기술 북한 내 재생산 영역의 사회구조와 여성의 실천 : 임신‧출산 관련 법제와 개인 경험을 중심으로 / 김석향 외 2016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