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35377 
바이오의약품의 허가-특허 연계제도
= A Study on Patent Linkage System about Biologics

                                  

  • 저자명

    박인회(Park, In Hoi)                                            

  • 학술지명

    법학논고               

  • 권호사항

    Vol.41 No.- [2013]                             

  • 발행처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25-352(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3년

  • 초록 (Abstract)
    • 한, 미 양국은 2010. 2. 10. 추가 협상 합의문서에 서명하였다. 이에 따라 2011. 11. 22. 한미 FTA 이행법률인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를 통과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의약품 허가-특허...
  • 한, 미 양국은 2010. 2. 10. 추가 협상 합의문서에 서명하였다. 이에 따라 2011. 11. 22. 한미 FTA 이행법률인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를 통과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의약품 허가-특허 연계제도는, 신약의 특허가 존속하는 기간 중에 제네릭(generic) 의약품에 대한 시판 허가가 신청된 경우 이러한 사실을 신약 특허권자에게 통지하고, 만약 이 사실을 통지받은 특허권자가 제네릭 의약품 업체를 상대로 특허 침해소송을 제기하면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허가 절차를 자동으로 중지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미국은 전통적 화학합성 의약품의 경우 새로운 의약품의 시판승인 신청을 하는 경우 허가받지 않은 사람이 해당 약품을 제조, 사용하거나 판매하는 경우 특허가 침해된다고 합리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 모든 특허목록을 제출하게 하고, 이 등재된 목록에 대하여 일정한 보호가 주어지고, 바이오 의약품의 경우에는 이러한 특허목록 없이 허가 신청자가 대조약 제공인에게 허가신청 사실을 통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미 FTA 체결 이후 약사법의 개정을 통하여 허가-특허 연계제도를 도입하였는데, 전통적 화학합성 의약품과 바이오 의약품의 구별 없이 모두 특허 등재 목록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문제가 되고 있는 한-미 FTA 해당 규정을 보면 제5.8조의 정의 조항은 제5장의 목적상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제18장에도 적용된다고 볼 이유가 없고, 2000년 이후 미국은 다른 나라와 FTA를 체결하면서 동일한 조항을 삽입하였는 데, HW법은 바이오의약품에 적용되지 않고, BPCIA는 2010년에 제정되었기 때문에 이 조항에 바이오의약품이 포함된다고 보는 것은 무리일뿐 아니라, 미국은 바이오의약품에 대해서는 FOB 제조자가 대조약 제공인에게 허가 신청사실을 통보하는 것 외에는 허가-특허 연계제도를 거의 시행하지 않기 때문에 제18.9조 제5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한-미FTA에서 강제되고 있는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바이오의약품에도 적용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다.
    허가-특허 연계제도의 적용대상이 되는 신약은 전통적 화학합성 의약품으로 제한하고, 바이오의약품의 경우 특허등재목록 적용대상에서 제외하여 미국과 같이 다른 약품의 임상자료를 자신의 허가신청의 근거자료로 삼는 경우 해당 임상자료를 제출한 자에게 허가신청 사실을 통지하게 하고, 특허권 관련분쟁은 양 당사자가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 올바른 허가-특허 연계제도의 도입방안으로 판단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전통적 의약품에 관한 허가-특허 연계제도

    Ⅲ.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허가-특허 연계제도

    Ⅳ. 한-미 FTA상 허가-특허 연계제도에 관한 규정

    Ⅴ. 결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868 9 보건의료 약사법상 의약품 동정적 사용제도 / 강한철 2013  263
1867 9 보건의료 서울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건강관리와 의료이용 실태 / 손창우 2018  263
1866 9 보건의료 위험의 지구화, 지구화의 위험 - 한국의 '광우병' 논쟁 연구 / 하대청 2012  264
1865 5 과학 기술 사회 우리나라 재생의학의 기술경쟁력 평가- 특허분석을 중심으로/안두현, 정교민, 신율 2006  264
1864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2015년 사태와 관련된 의료법령의 분석과 입법론 - 「의료법」 및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쟁점 조항을 중심으로 -/김천수 2015  264
186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상 의료기관 개설제한의 위반유형에 관한 연구/김준래 2014  264
1862 13 인구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 김정숙 2006  264
1861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4
1860 4 보건의료 철학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 / 전유정 외 2019  264
1859 9 보건의료 의사의 불성실한 진료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전병남 2014  265
185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 김상희 2006  265
185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의 활성화 방안 / 김양이 ,양승훈 2007  265
1856 18 인체실험 급성기관지염의 약물중재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유이란 외 2017  265
1855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2017  265
1854 10 성/젠더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김동식 외 2017  265
1853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6
1852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1851 9 보건의료 감염병으로 인한 격리조치에 관한 소고/박정일 2015  266
1850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책임복구 추가의정서의 법적 쟁점과 법적·제도적 대응방향/최승환 2010  266
1849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시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 변미희 2011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