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외학술지 
학술지명 : Nature 
관련링크 :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53...e20134.pdf 

Nature | Article


CRISPR/Cas9 β-globin gene targeting in human haematopoietic stem cells

(CRISPR/Cas9을 이용한 사람 조혈모 세포 유전자 교정)


Daniel P. Dever,  Rasmus O. Bak,  Andreas Reinisch,  Joab Camarena,  Gabriel Washington,  Carmencita E. Nicolas, 
 Mara Pavel-Dinu,  Nivi Saxena,  Alec B. Wilkens,  Sruthi Mantri,  Nobuko Uchida,  Ayal Hendel,  Anupama Narla, 
 Ravindra Majeti,  Kenneth I. Weinberg  & Matthew H. Porteus 



Nature  Volume: 539,   384–389  


Subject terms: Haematopoietic stem cells  Stem-cell biotechnolog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968 9 보건의료 요양급여기준의 법적 성격과 요양급여기준을 벗어난 원외처방행위의 위법성 -대법원 2013. 3. 28. 선고 2009다78214 판결을 중심으로-/현두륜 2014  251
1967 16 환경 나고야 의정서의 법적 쟁점과 우리나라 입장에 관한 제언/김명자, 손영현, 김혜영 2014  251
1966 14 재생산 기술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장복희 2015  251
» 15 유전학 CRISPR/Cas9 β-globin gene targeting in human haematopoietic stem cells 2016  251
1964 1 윤리학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하에서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에 관한 연구 / 권양섭 2016  251
1963 12 낙태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인간존엄성 위기 논의를 중심으로 / 류화신 2015  251
196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적안녕 및 삶의 질과의 관계 / 박미영 2015  251
1961 14 재생산 기술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와 관련한 민사적 쟁점 -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신의칙에 근거한 알권리의 인정여부를 중심으로 - / 윤석찬 2018  251
196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2018  251
1959 1 윤리학 데이터 소유권 개념을 통한 정보보호 법제의 재구성 / 박상철 2018  251
1958 1 윤리학 개인의료정보보호에 관한 법적 연구 / 박인경 2007  252
1957 1 윤리학 의료인의 환자 전인 치유를 위한 영적 돌봄 / 노현기 2015  252
1956 8 환자 의사 관계 미검증 의료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정책학적 연구 / 채규현 2015  252
1955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2015  252
195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의 중단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과 관련하여 / 석희태 2009  252
195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이후의 삶: 노동하지 않아도 행복한가? / 현남숙 2016  252
1952 14 재생산 기술 산부인과 전문병원 내원환자의 난임 특성과 보조생식술 유형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 김윤정 2016  252
1951 14 재생산 기술 절박유산과 정상임부 및 시험관아기시술 환자에서 초기임신인자의 임상적 유용성 / 이진용 1997  252
1950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에 대한 페미니즘 담론 연구/최영주 2008  252
1949 9 보건의료 문재인정부 복지정책의 전망과 과제 - 한국 복지국가의 경로를 바꿀 것인가? - / 김연명 2018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