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발생과 생식(Development & reproduction)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385070 
줄기세포와 생식세포에서 리프로그래밍 인자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과 전망
= Current Progress and Prospects of Reprogramming Factors - Stem Cells vs Germ Cells

                               

  • 저자명

    서유미(You-Mi Seo), 이경아(Kyung-Ah Lee)                                               

  • 학술지명

    발생과 생식(Development & reproduction)                               

  • 권호사항

    Vol.14 No.2 [2010]                                                       

  • 발행처

    한국발생생물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3-50(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초록 (Abstract)

  • 최근에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하여 체세포에 몇 가지 전사인자(리프로그래밍 인자)를 넣어줌으로써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를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유도만...
  • 최근에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하여 체세포에 몇 가지 전사인자(리프로그래밍 인자)를 넣어줌으로써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를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하게 자가재생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신체의 모든 타입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배아줄기세포와는 달리 면역거부반응이 없다는 점과 윤리적인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어 2006년 Yamanaka 팀이 유도만능줄기세포에 관해 처음 보고한 이후로 이 분야 연구의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안전성의 문제점 때문에 세포치료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리프로그래밍 인자의 도입 방법 및 새로운 리프로그래밍 인자의 발굴 등 몇 가지 해결해야 할 점들이 남아 있다. 본 종설에서는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만드는데 사용된 몇 가지 리프로그래밍 인자에 대해 보고된 연구 내용을 리프로그래밍 인자가 존재하는 세포인 배아줄기세포 및 난자와 배아에서 정리하고자 하며, 리프로그래밍 인자의 연구에 관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약
    • 서론
    • 고찰
    • 감사의 글
    • 인용문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608 10 성/젠더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경험에 관한 연구 / 임승미 2017  302
    1607 9 보건의료 메르스(MERS) 사태 이후 병원 공간 변화 방향 연구 :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이정열 2017  302
    1606 15 유전학 유전자가위(CRISPR) 특허 분쟁으로 살펴본 비자명성과 진보성 그리고 분자생물학의 과학적 진보 / 오창규 2017  302
    1605 9 보건의료 의료 3D 프린팅 기술의 전망 및 소아치과분야에서의 활용 / 이상호 2016  303
    1604 9 보건의료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천병철 외 2012  303
    1603 2 생명윤리 생명(관리)권력과 생명정치 / 양운덕 2011  304
    1602 5 과학 기술 사회 리스크 거버넌스에서 리스크 개념 및 영역의 확장과 그 효과 / 서정임 2013  304
    160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과 호스피스 완화의료/장윤정 2015  304
    160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구선 2012  304
    1599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보호체계의 재구축을 위한 헌법적 고찰 / 김나루 2017  304
    1598 5 과학 기술 사회 교육콘텐츠 개발의 저작물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발 / 이영음 2011  304
    1597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윤연정 2018  304
    1596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5
    1595 19 장기 조직 이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등록한 시신기증인들의 사회적 특성 / 황선종, 이은영, 허영도, 허석열, 손현준 2012  305
    »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와 생식세포에서 리프로그래밍 인자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과 전망 / 서유미, 이경아 2010  305
    1593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적 죽음 이해와 죽음 교육에 대한 목회적 고찰 / 김영계 2016  305
    1592 9 보건의료 건강보험청구 자료를 이용한 치매질환과 다른 질환 간 연관성 분석 / 이지현 2017  305
    159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AI시대 인성교육의 방법과 전망/유성선 2018  305
    1590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자기결정권과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치료거부(informed refusal) : 판례 연구 / 배현아 2017  305
    1589 2 생명윤리 의학교육에서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인식 / 허윤정, 권복규, 이옥진, 안덕선 2013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