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13889 
정부의 건강보험수가정책이 국내의료기기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의료기기 업체를 중심으로

                                 

  • 기타서명

    A study regarding the effects on the sustainability of domestic medical appliances industry caused by the government’s pricing policy for medical insurance

  • 저자

    박용철                                       

  • 형태사항

    83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정식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 창업컨설팅 전공 2014.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정부의 건강보험수가에 관련된 가격통제정책과 환율변동에 따른 치료재료수가 연동정책이 중소의료기기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시장...
    • 본 연구는 정부의 건강보험수가에 관련된 가격통제정책과 환율변동에 따른 치료재료수가 연동정책이 중소의료기기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시장의 가격결정 메커니즘에 반하는 정부의 가격통제정책은 이론적으로 산업발전에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며 우리나라의 중소의료기기산업 역시 정부의 가격통제정책으로 인하여 매우 취약한 성장기반을 가진 것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정부의 건강보험 치료재료수가 가격통제정책이 국내의료기기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속가능한 요인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제조, 유통 및 수입업체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행한바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치료재료 수가정책의 가격통제정책은 중・소 의료기기 업체의 경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가격통제정책이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의지에는 유의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지속발전에 대한 기업 스스로의 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율연동 가격정책 역시 중소의료기기산업의 경영성과에 대해서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정책이 중・소 의료기기 업체의 기술 개발의지와 R&D 투자에 부의 영향을 미치리라는 가설에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중소의료기기업체들은 비록 정부의 불리한 가격통제정책에도 불구하고 R&D투자 및 기술개발에 대한 의지를 가지면서 미래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자구적인 노력을 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고 해석된다.
      본 연구는 공익을 위하여 취하고 있는 정부의 가격통제정책과 이로 인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에 장애를 겪고 있는 산업의 관계에서 국가의 사회적인 목적의 달성과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을 위한 균형적인 방식설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과 논문의 구성 3
    •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 제1절 국내 의료기기산업에 대한 고찰 5
    • 1. 의료기기산업의 환경 5
    • 2. 의료기기 사업의 산업적 특성 13
    • 3. 건강보험수가정책 19
    • 제2절 의료기기 산업의 지속가능성 30
    • 1. 지속가능성 30
    • 2. 경영성과 35
    • 3. 기술개발 39
    • 제3장 연구 모형 및 연구방법 46
    • 제1절 연구 모형 46
    • 제2절 가설 설정 47
    • 1. 건강보험수가 가격통제정책과 재무적성과, 성장성, 기술개발의지 R&D투자 47
    • 2. 건강보험수가 환율연동정책과 재무적성과, 성장성, 기술개발의지, R&D투자 48
    • 제3절 측정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연구조사방법 48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48
    • 제4절 연구대상 및 측정 방법 52
    • 1. 연구대상의 선정 52
    • 2. 설문지 구성 52
    • 3. 측정 방법 53
    • 제4장 연구결과 55
    • 제1절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55
    • 제2절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결과 59
    • 제3절 가설검증 62
    • 제5장 결론 67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67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68
    • 참고문헌 70
    • 부 록 74
    • 국문초록 79
    • Abstract 8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0
    2568 15 유전학 생명윤리적 관점에서 본유전자 편집 특허의 제문제 / 진영진 2018  233
    2567 1 윤리학 생명권의 보장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 금지/권건보 2013  233
    2566 15 유전학 현행 생명윤리법상 유전자편집기술의 법적 쟁점 / 황만성 2017  233
    2565 12 낙태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 한국 낙태논쟁에 대한 함의 / 정진주 2010  233
    » 9 보건의료 정부의 건강보험수가정책이 국내의료기기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의료기기 업체를 중심으로 / 박용철 2014  233
    2563 15 유전학 산전유전진단 및 유전상담의 실제 / 오수영 외 2007  233
    256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3
    2561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민간활용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에 대한 연구 : 일반인 인식조사와 법제 개선방향 모색 / 손영주 2016  232
    2560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의 병원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의료광고 시사점을 중심으로 / 유승엽, 김은희 2006  232
    2559 2 생명윤리 첨단융복합의료제품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과 임상시험 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미지 2016  232
    255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를 위한 간이식 전 교육 및 상담 / 하희선 2015  232
    2557 2 생명윤리 윤리 심포지엄_각종 의무기록 작성에 있어서 알아야 할 의료윤리 : 각종 증명서 발급의 윤리적 문제 / 권복규 2013  232
    2556 15 유전학 유전자편집 작물의 개발 현황 및 농업생명공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강화/ 이신우 2018  231
    2555 12 낙태 치료적 낙태와 태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고찰 / 장동익 2019  231
    2554 12 낙태 낙태죄 존치론에 대한 반론 / 이석배 2018  231
    2553 20 죽음과 죽어감 장애인 가족 돌봄부담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연구 / 이민경 2018  231
    2552 15 유전학 연구로 발생한 이익에 대한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 제공자의 권리 / 유호종 2015  231
    2551 1 윤리학 법에 있어서의 인간상에 관한 고찰 / 김종덕 2016  231
    2550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과 호스피스 정책; 생활행정학의 관점/조무성 2015  231
    254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2019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