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DC법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29599 
‘바이오레인(BIOREIN)’ - 실험동물자원 개발을 위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구상 -

               

  • 저자명

    황수진, 김진호, 신희정, 조영민, 김해든, 최경민, 유동훈, 정면우                        

  • 학술지명

    FDC법제연구                           

  • 권호사항

    Vol.10 No.1 [2015]                                                       

  • 발행처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3-99(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초록 (Abstract)
    • 실험동물은 의약품의 개발과 평가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연구 및 시험 자원이다. 실험동물의 사용이 인류의 질병을 극복하고자 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부인하는 연구자는 찾아보...
    • 실험동물은 의약품의 개발과 평가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연구 및 시험 자원이다. 실험동물의 사용이 인류의 질병을 극복하고자 하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부인하는 연구자는 찾아보기 힘들다. 의약품 개발의 선진국들은 다양한 실험동물을 확보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명과학 연구와 의약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제공함으로서 신 약개발 등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설치류를 중심으로 한 해 수 백만 마리의 실험동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의 약품 개발이 가속화 되면서 앞으로 실험동물의 사용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사용 되는 실험동물 자원은 대부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장차 국내 의약품 개발 및 생명과학 연구에 있 어 다양한 종류의 실험동물 사용에 제약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국가 R&D 지원을 통하여 많은 질환모델동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적절한 활용체계를 갖추지 못하여 연구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이를 활성화하 기 위한 적절한 관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바에 따라 실험동물에 관한 주무부처로서 실험동물 개발과 활용을 위한 국가 차원의 실험동물자원 확보 및 관리체계를 구 상하였고, 그 이름을 “Laboratory animal BIO REsources INitiative (BIOREIN)”이라 명명하였다. 바이오레인(BIOREIN) 사업은 연구개발사업의 결과물인 실험동물자원을 일반사업을 통하여 검증·확보한 후 이를 제품화하고 실험동물자 원은행을 통하여 실험동물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국가체계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 고유의 실험동물 모체 자원을 확보하여 실험동물자원의 국가주의를 실현함으로써 국가 실험동물자원을 국내 실험동 물 생산시설에 보급하여 생산할 수 있게 지원하고, 나아가 경쟁력 있는 질환모델동물을 개발하여 글로벌 시장에 진 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서 실험동물 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레인 사업은 실험동물자원 은행을 통하여 실험동물자원의 재활용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국내 생명과학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서론
    • II. 본론
    • 1. 자원 발굴 단계
    • 2. 자원화 단계
    • 3. 자원의 제품화 및 글로벌화 단계
    • 4. 실험동물자원은행 및 생체자원 거점기관 설립
    • III.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10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59
    107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22
    106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시험의 문제점 / 류화신 2013  2997
    105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2018  2162
    104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2003  1536
    10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 과 대면진료의무를 위반한 의사의 형사책임 2014  1338
    102 19 장기 조직 이식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의 적응 경험 / 이선미 2015  1311
    101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2019  1109
    100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2016  914
    99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2015  701
    98 18 인체실험 의학연구에서 위험성 평가 :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평가를 위해 고려할 사항들 / 이일학 2008  691
    97 2 생명윤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간호연구의 생명윤리의식 측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점으로 / 최미선 2019  671
    96 2 생명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생명의학, 국가, 그리고 사회적 이념 / 조백현 2014  665
    95 2 생명윤리 생명공학자의 연구윤리 고찰 / 이춘호 2003  655
    94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의 정당성에 관한 법적 쟁점 / 김민우 2014  650
    93 18 인체실험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 유영준 2012  641
    92 14 재생산 기술 ‘잔여’ 배아와 난자의 연구목적 이용을 둘러싼 쟁점 / 정연보 2013  628
    91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2007  626
    90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89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2016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