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143575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기타서명

    Three Essays on Low Fertility, Married Womens Labor Supply and Hope Wage

  • 저자

    남국현                                       

  • 형태사항

    x, 164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경제학부 경제학 전공 2013. 2

  • DDC

    330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3

초록 (Abstract)

  • 초 록 제1장 여성의 결혼과 출산의 결정요인 분석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의 교육수준과 경제활동 참여율의 변화가 초혼연령 및 첫 출산기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
  • 초 록

    제1장 여성의 결혼과 출산의 결정요인 분석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의 교육수준과 경제활동 참여율의 변화가 초혼연령 및 첫 출산기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분석하고, 여성의 결혼 및 출산에 관한 결정식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의 초혼연령이 1960년에서 1965년 사이에 1.2세 증가한 것은 학력구성의 변화가 79.2%정도 설명할 수 있고, 1965년 코호트 이후에는 미혼율 변화의 효과가 학력변화의 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나, 고학력 계층으로의 학력변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60년대 중반 이후에는 고학력 여성들의 결혼연기나 회피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런 현상은 출산력 저하에도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성의 결혼에 관한 결정식의 추정결과 최근 코호트로 올수록 고학력 여성의 구성비율이 증가하여 초혼연령이 상승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취업 여성은 미취업 여성에 비해 20대 초반에는 결혼탈출확률이 낮지만, 20대 중반 이후부터는 결혼탈출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의 임금이 높을수록 결혼탈출확률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임금이 높은 여성들이 결혼을 큰 기회비용으로 인식해 결혼을 미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혼여성의 출산에 관한 결정식의 추정결과에서는 최근으로 올수록 고학력 여성의 구성비율이 증가하여 과거에 비해 최근 여성의 출산시기가 늦어지고 있음이 밝혀졌고, 여성의 결혼연령의 상승이 출산탈출확률을 낮추지만, 첫 출산시기와는 일정한 관계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결혼 후 취업하고 있는 여성이 미취업 여성에 비해 출산탈출확률이 0.22정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배우자는 미취업자에 비해 취업한 근로자의 출산탈출확률이 0.09정도 더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기혼여성의 임금의 차이는 출산시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미취업 배우자에 비해 140만원 이상 임금을 받는 배우자의 출산탈출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출산이나 육아비용을 지불할 배우자의 능력이 출산시기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여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출산탈출확률이 0.24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여성이 가정에서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것이 출산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장 남편소득과 자녀교육이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전국가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남편소득의 차이에 따라 자녀교육이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의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남편소득이 중위 50%와 상위 10%인 경우 초등학교 이후부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이 감소하고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상위 계층의 기혼여성의 경우 자녀가 고등학생이 되었을 때 취업률이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것은 자녀교육을 위해 노동시장 참여를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남편소득이 하위 계층인 기혼여성들의 경우 사교육비 지출이 증가할수록 취업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편소득이 상위 계층인 기혼여성들은 사교육비 지출이 높을수록 오히려 취업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같은 결과는 하위 계층의 여성들은 자녀의 사교육비 지출을 위해 노동시장에 참가할 의사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위 계층의 여성들은 교육열도 높고, 경제적인 여건이 좋아 노동시장에 참여하기보다는 가정에서 자신의 역할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3장 청년층 구직자의 희망임금과 유보임금의 동질성 연구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자료에서 청년들이 대답한 희망임금에 대해 분석하여, 희망임금을 유보임금의 대리변수로 사용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청년층 구직자의 희망임금은 자신의 인적자본 수준에 맞게 제시되었고, 잠재시장임금의 추정도 적절하여 희망임금과 잠재시장임금의 차이가 취업여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희망임금이 유보임금의 대리변수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관해 검증할 수 있다. 특히 청년 남성 구직자의 경우 인적자본 수준과 더불어 가구소득도 희망임금과 상관관계를 보여 다른 계층에 비해 희망임금이 유보임금에 가장 가깝게 제시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청년 남성 구직자 중 그 다음해에 구직포기자로 이동한 구직자들을 제외하고, 취업에 성공한 취업자와 여전히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실업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희망임금이 잠재시장임금보다 높을수록 취업확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희망임금과 잠재시장임금의 차이를 삼등분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5만원 이상 35만원 미만과 35만원 이상의 구직자의 취업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희망임금이 유보임금의 대리변수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여성 구직자의 분석에서 희망임금과 잠재시장임금의 차이는 취업확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같은 결과는 여성 구직자의 취업은 자신의 유보임금보다는 노동수요에 의해 영향을 더 크게 받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여성 구직자의 희망임금은 자신의 능력에 맞게 제시되어도 취업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유보임금의 대리변수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 1 장 여성의 결혼과 출산의 결정요인 분석 1
    • 제 1 절 서론 1
    • 제 2 절 선행연구 6
    • 1. 결혼의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7
    • 2. 출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9
    • 제 3 절 출산력 변동 추이 12
    • 제 4 절 출산수준 변화의 원인 28
    • 1. 초혼연령의 변화 28
    • 2. 첫 출산기간의 변화 37
    • 3. 초산연령의 변화 42
    • 4. 평균자녀수의 변화 44
    • 5. 여성의 취업상태별 혼인율 및 취업비중의 변화 47
    • 제 5 절 실증분석 49
    • 1. 자료 및 변수 50
    • 2. 분석모형 58
    • 3. 분석결과 60
    • 제 6 절 결론 73
    • 참고문헌 79
    • 제 2 장 남편소득과 자녀교육이 기혼여성의
    •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81
    • 제 1 절 서론 81
    • 제 2 절 선행연구 84
    • 제 3 절 기혼여성의 노동시장참가와 자녀교육비 추정 87
    • 제 4 절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결정요인 추정 99
    • 제 5 절 결론 109
    • 참고문헌 112
    • 제 3 장 청년층 구직자의 희망임금과 유보임금
    • 의 동질성 연구 114
    • 제 1 절 서론 114
    • 제 2 절 선행연구 116
    • 제 3 절 희망임금과 잠재시장임금 119
    • 제 4 절 실증분석 140
    • 1. 자료 및 변수 140
    • 2. 분석결과 145
    • 제 5 절 결론 152
    • 참고문헌 155
    • 부 록 157
    • Abstract 16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408 16 환경 기후변화와 키메라현상에 대한 계층 간의 관계인식 / 백정애 2011  202
    240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약상 피험자의 민사법적 보호 -의사의 진료와 의약품임상시험과의 구별을 중심으로 / 김기영 2011  202
    2406 1 윤리학 포스트휴먼 시대의 로봇과 인간의 윤리 / 유은순 외 2018  202
    240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자살관념 생성과 극복에 관한 사례연구 / 강준혁 외 2017  202
    2404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정비 / 전유라 2017  202
    2403 15 유전학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 이윤정 안주희 권순학 황수경 2016  202
    240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 전문직 윤리교육과 합리적인 의료오류보고 체계 마련을 통한 의료분쟁의 예방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 의료오류보고 체계를 통한 민원 분석 / 2008  203
    2401 9 보건의료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판례의 입장 고찰 -의료법상 '면허된 의료행위' 해당 여부의 판단-/곽숙영 2014  203
    2400 2 생명윤리 모자보건법 제14조에 대한 헌법적 고찰과 제언 : 인간 생명의 가치를 중심으로/이경의 2014  203
    2399 15 유전학 DNA 정보의 주체 -시민 정체성의 새로운 구성 / 김지연 외 2016  203
    2398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이 병원의 내부요인과 성과에 미치는 정종덕 문재영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우리나라의 9개 병원을 중심으로 / 정종덕, 문재영 2013  203
    »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 남국현 2013  203
    2396 12 낙태 낙태규제에 관한 미국 판례와 학설의 전개 / 도회근 1998  203
    2395 1 윤리학 양명학을 통해 본 인공지능(AI)시대의 과학기술윤리/양선진 2016  203
    2394 9 보건의료 도시와 시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비교 2017  203
    239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의 법적 의미와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 2003  203
    239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플랫폼 / 이경희, 조완섭 2017  203
    2391 20 죽음과 죽어감 비교법적 검토를 통한 연명의료결정법의 개선 방향에 관한 제언 ― 대상 및 범위의 확대와 의사(意思) 추정 및 대리의 적절성 담보를 중심으로 ― / 강다롱 2018  203
    2390 9 보건의료 바이오 기술을 통한 의약품 산업의 혁신 : 단클론항체 의약품을 중심으로 / 노현지 2019  203
    2389 5 과학 기술 사회 사례분석을 통한 공학윤리적 고찰/김경천 2002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