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기독교사회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525923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저자명

    김희수                                             

  • 학술지명

    기독교사회윤리                           

  • 권호사항

    Vol.12 No.- [2006]                                                            

  • 발행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Socie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9-122(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6년

초록 (Abstract)

  • There is no law or legal guidelines about surrogacy in Korea. Peoples' opinions on surrogacy are mixed. According to statistics, about 80% of the Koreans in Korea are against it, but still about 20% of the Korean population are in favor of it. This 20...
  • There is no law or legal guidelines about surrogacy in Korea. Peoples' opinions on surrogacy are mixed. According to statistics, about 80% of the Koreans in Korea are against it, but still about 20% of the Korean population are in favor of it. This 20% of Koreans say that they would choose surrogacy in order to ensure they have a baby who inherits their own genes if they were otherwise incapable of pregnancy. About 43,000 babies were born through surrogacy in Korea in 2005. But there are so many ethical and legal issues related to surrogacy. Examples of these issues include the difficulty of judging parental rights, the danger of the destruction of kinship structure, exploitation of the right of the surrogate mother, acquisition of babies by way of monetary dealing, colonialization of the womb, production and destruction of embryos, eugenic tests of the embryos, and the production of designed babies. This article will focuss on analysing these issues and suggest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대리모의 개념정의
    • Ⅲ. 대리모출산에 대한 국민의식과 현황
    • Ⅳ.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
    • 1. 관련법규의 부재
    • 2. 친권자 판정
    • 3. 혈연․가족체계 파괴와 반인륜적 가족관계 형성 가능성
    • 4. 금전거래를 통한 부모 자식의 관계형성
    • 5. 대리모 여성에 대한 인권유린
    • 6. 빈곤층 및 약소국 여성 착취
    • 7. 잉여배아 파괴
    • 8. 배아실험 및 조작
    • Ⅴ. 결 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62

    2 생명윤리 주류 언론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서 주변화된 여성주의 생명윤리 / 김명혜

    발행년 2006 

    • 조회 수 48

    1 윤리학 의생명과학기술 법정책에서 성주류화의 필요성 - 보조생식술과 임상시험을 중심으로 - / 김은애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48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4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48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의 현황과 향후 개선방안 / 황지환

    발행년 2017 

    • 조회 수 48

    15 유전학 가축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유전자기술의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 왕승혜

    발행년 2016 

    • 조회 수 48

    9 보건의료 Obesity and Obligation

    발행년 2015 

    • 조회 수 48

    9 보건의료 중국 사전지시(advance directive)의 현황과 쟁점/리샤, 최영춘(번역)

    발행년 2018 

    • 조회 수 47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현황과 과제 / 이상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4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발행년 2008 

    • 조회 수 47

    9 보건의료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방안에 따른 국민의 의료기관 이용 변화 조사/김민경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4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 오승민 외

    발행년 2008 

    • 조회 수 47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 생명 말기에 경험하는 고통과 삶에 대한 태도 - 연명의료결정법과 관련하여 / 최진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47

    9 보건의료 인공지능기술 융합 및 협력패턴에 관한 연구 / 배영임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를 둔 어머니의 경험 / 이명선 외

    발행년 2001 

    • 조회 수 47

    5 과학 기술 사회 유전자 선별 시대에 분배정의의 실현을 위한 선교적 과제 - 기독교평등공동체 구현을 위한 선교를 중심으로 / 김광연

    발행년 2017 

    • 조회 수 47

    9 보건의료 규제에 대한 법경제학적 고찰 : 보건의료정보 보호와 이용의 정책방향 모색 / 정종구

    발행년 2015 

    • 조회 수 47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47

    9 보건의료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건강보험 혁신 방향 / 신영석

    발행년 2017 

    • 조회 수 47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의료관광 분쟁시 책임주체에 대한 검토 / 문상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47